눈은 작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역할이 막중기 때문에 눈건강을 체크하려면 많은 검사가 필요하다. 이때 일반인들이 흔히 혼동하는 것이 시력검사와 굴절력검사다.
시력검사는 한쪽 눈을 가리고 시력표를 읽는 일반적인 시력측정으로 눈에 이상이 없는 정상 성인의 평균시력은 1.0이다. 2.0이 가장 높으며 시력이 점차 나쁜 순서로 1.5, 1.2, 1.0, 0.9, …,0.2, 0.15, 0.1, …, 0.02, 안전수지(눈앞에서 손가락을 셀 수 있는 정도의 시력), 안전수동(눈앞에서 손을 흔드는 것을 아는 정도의 시력), 광각(빛이 있는지 없는지를 아는 정도의 시력)으로 내려간다. 국내서는 1993년 공인된 ‘한천석 시력표’(한천석 전 서울대 의대 교수가 만듦), 1997년 인증된 ‘진용한 시력표’(진용한 울산대 의대 교수가 만듦) 등 두가지 한글·숫자 혼용 시력표가 쓰이고 있다.
흔히 안경을 벗고 재는 나안시력을 진짜 시력이라고 믿는 사람이 많지만 더 중요한 것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쓰고 잰 교정시력이다. 나안시력은 눈의 상태를 정확히 아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근시,원시,난시 등 굴절이상으로 안경을 맞출 때 같은 정도의 근시가 있어도 사람마다 시력이 다르고, 같은 사람이라하더라도 잴 때마다 시력이 다르게 나오기 때문이다. 교정시력이 나안시력보다 훨씬 좋은 사람은 굴절이상 때문에 시력이 떨어진 것을 의미하므로 눈의 이상을 진단하거나 안경을 맞출 때 훨씬 도움이 된다.일반적으로 교정시력이 0.1 이하라면 맹인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시력검사 과정 중 큰 글씨가 흐릿해 보인다면 정확한 측정을 위해 굴절력 검사를 하게 된다.먼 거리에서 온 빛은 렌즈(수정체)를 통과,굴절해 렌즈 뒤쪽 한 점에 모이게 된다.이런 초점이 근거리에 맺힐수록 굴절력이 크다고 한다.렌즈에서 초점까지를 초점거리(m로 표시)라고 한다.디옵터(diopter, 기호는 D)는 렌즈(수정체)의 굴절력을 표시하는 단위로 초점거리(m)의 역수이다.만약 어떤 렌즈를 통과한 빛이 1m를 지나 초점을 맺었다면 초점거리는 1m이고 굴절력은 1디옵터가 된다.초점거리가 2m라면 디옵터는 0.5(2분의 1),초점거리가 0.5m라면 디옵터는 2(0.5분의 1)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