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인지기능 정상이여도 치매 진행 위험 높은 경도행동장애(Mild behavioral impairment)
  • 변기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등록 2025-04-25 10:15:48
기사수정
  • 50세 이후 뚜렷한 행동 및 성격 변화 … 인지저하가 뚜렷한 ‘경도인지장애’와 달라
  • 외국선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선제적 치료 … 현재 정해진 치료지침 없어 … 경도인지저하 중 60~85%가 경도행동장애

치매의 주된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은 초기에 경미한 기억력 저하로부터 시작 해 서서히 진행해 나중에는 자서전적인 기억력도 사라지고, 판단력 저하가 동반돼 일상생활의 독립적인 영위가 어렵게 된다. 치매 경과가 의심되는 환자는 조기에 발견하고, 원인 질환을 감별해 적절한 예방 및 치료 조치를 해야 진행을 늦출 수 있다.

   

노년기의 기분장애, 불안장애는 기존에는 치매처럼 두드러진 퇴행성 경과를 보이지 않는다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증상에 맞는 항우울제, 항정신병 등의 약물을 사용하고 상담 치료를 시행하게 되면 젊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충분히 회복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2008년 아르헨티나의 정신과 의사 타라가노 (Taragano)는 치매로 평가할 정도의 인지 기능 저하가 없는 노인에서, 생애 처음으로 정신행동 증상이 발생할 경우 향후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경도행동장애 (Mild behavioral impairment)’라고 명명했다. 이는 치매는 아니지만 유의미한 인지저하가 있을 때를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라고 명명하는 것에서 연유했다.

   

이후 2016년에는 미국치매협회(NIA-AA)는 경도행동장애 진단 기준을 새롭게 정립했다. 첫째, 50세 이후에 발생한 뚜렷한 행동 및 성격 변화가 관찰될 것. 둘째, 이러한 변화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될 것. 

   

셋째, 이러한 변화가 의욕의 감소, 감정 조절의 어려움, 충동조절의 어려움, 사회적인 부적절함, 환각과 같은 지각 이상 또는 망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것. 

   

넷째, 이런 증상으로 인해 사회 및 직업활동과 대인관계에서 장애가 초래될 것. 다섯째, 치매로 진단할 정도의 인지저하가 없을 것이다.

   

실제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서 노인 환자 중 뚜렷한 인지저하 없이 우울, 불안, 정신증 등의 증상으로 외래를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상당수는 초기 성년기부터 발생 및 호전과 악화를 반복한 정신과 질환의 재발인 경우가 많지만, 실제 전혀 증상이 없던 노인이 처음으로 내원하는 경우도 있다. 

   

앞서 언급한 진단 기준과 측정 도구를 활용한 후속 연구들에서 정신과 외래를 내원하는 노인 환자 중 인지저하가 전혀 없는 경우는 20%가, 경도인지장애에 해당하는 노인 중에선 50%가 경도행동장애로 진단을 받은 데 만족한다고 알려져 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경도행동장애로 진단되는 비율은 30~85%(더 높게는 60~85%)이다. 반면 인지저하가 없는 사람 중 30~40%가 경도행동장애로 진단된다고 알려져 있다. 

   

경도행동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들로는 감정 조절 및 충동 조절의 어려움이었고, 그 다음으로 의욕 감소,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행동, 지각 및 사고 이상 등이었다.

   

감정조절과 충동의 문제는 기분장애의 증상으로도 발현되기에, 실제 이러한 환자들이 경도행동장애인지, 추후에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병력 청취를 통해서, 증상의 발현 시점 및 경과를 판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외래치료 중에도 첫 내원 당시의 주 증상 외에 인지저하가 새롭게 나타나거나, 또는 진행하지 않는지 세심하게 평가해야 한다. 만일 이러한 인지저하 경과가 있을 경우에는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해서 객관적으로 유의미한 인지저하가 있는지 확인하고,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서 원인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치료제 들이 도입되고 있기에,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통해서, 알츠하이머 병리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만약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신경 퇴행성질환이 인지저하의 원인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이를 경감시키는 치료 약물을 사용함으로써 경과를 늦출 수 있다.

   

하지만 노인 환자가 경도행동장애라고 판단하더라도, 현재까지는 이를 선제적으로 진단 및 치료할 수는 없다. 실제 경도행동장애이더라도 치매로 진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한국의 의료 현실에서는 유의미한 인지저하가 없을 경우에는 알츠하이머 관련 치료 약물 등의 사용이 허락되지 않고 있다. 

   

아직까지 경도행동장애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합의된 가이드라인은 없는데, 현재 외국에서는 다양한 치매 관련 임상시험에서, 경도행동장애를 대상군으로 포함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향후 경도행동장애와 관련된 새로운 임상 진료 방침이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노년기에 초발한 행동, 성격의 변화가 있을 때 꾸준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및 평가를 하면서, 치매로의 진행을 민감하게 관찰하는 것이 현재는 최선의 조치이다. 50세 이후 뚜렷한 행동이나 성격의 변화가 6개월 이상 지속돼 사회활동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라면 전문의 상담을 받기를 당부하고 싶다.변기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