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톨릭중앙의료원, 코에서 찾은 세포로 찰떡같이 붙는 연골 재생 기술 개발
-
서울대병원, 렘수면행동장애(RBD) 유무에 따른 파킨슨병 발병 기전 차이 밝혀
-
최진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미만형 위암 전이 유발 단백질 ‘피불린-5’ 규명
-
환자맞춤형 기구 가이드 수술기법으로 어깨 인공관절 삽입 정확도 향상
-
국립암센터 연구팀, 美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 총 10건의 유전변이 제출 모두 승인
-
가톨릭대-SML바이오팜, 국내 최초 개인맞춤형 mRNA 대장암 암백신 개발
-
국립암센터, 다중오믹스 분석해 자궁경부암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규명
-
서울대병원, 혈액검사로 소아 모야모야병 조기진단 가능성 제시
-
강석호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팀, 스마트폰 방광암 조기진단 키트 개발
-
후복막하 부분 신절제술(RPNx), 단일공(SP) 로봇수술이 다공(MP)보다 임상적 우수성 확인
-
외래 기반 조기 완화의료, 암환자 임종기 응급실 의존 낮춰
-
뇌졸중 치료, 유전자형 따라 항혈소판제(클로피도그렐)의 효과 차이 나
-
MET 유전자, 항암 정밀치료 ‘과녁’으로 유용한 대안
-
수면무호흡증, 염증성 면역세포 늘려 … 면역질환 위험 상승
-
여성 대장암 절반 이상이 ‘오른쪽’(상행결장) … 남성은 ‘왼쪽’(하행결장)이 많아
-
김형년 강남성심병원 교수, ‘발목 난치성 상처’에 ‘지속적 흡인 배액관 치료법’ 제시
-
수지상세포 및 대식세포에만 특이적 결합하는 면역조절 나노입자로 천식 치료
-
문인기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팀, 심장초음파 기반 심장비대 원인 AI 감별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