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세브란스 연구팀, 콧물로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 진단…조직 생검 대체 가능성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08-08 09:32:45
기사수정

나민석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문서진 용인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문성민 연세대 의과대학 박사 연구팀 (왼쪽부터)

콧물 속 단백질을 이용해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을 구분할 수 있는 비침습적 진단법이 개발됐다.


나민석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문서진 용인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문성민 연세대 의과대학 박사 연구팀은 콧물에서 발견되는 ‘시스타틴 SN(cystatin SN)’ 단백질이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의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유럽 알레르기 임상면역학회지 알러지(Allergy, IF 12.0)에 게재됐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비강과 부비동 점막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코막힘·콧물·안면 통증·후각 저하 등이 주요 증상이다. 염증 양상에 따라 제2형과 비2형으로 나뉘며, 치료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가장 정확한 방법인 점막 조직 병리검사는 수술이나 조직 생검이 필요해 환자 부담이 크고 진료 현장에서 적용이 어렵다.


연구팀은 만성 비부비동염 환자의 콧물과 비강 점막 조직을 분석해 제2형 염증 상피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CST1 유전자를 확인했고, 이 유전자가 만드는 시스타틴 SN 단백질이 제2형 환자에서만 뚜렷하게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단백질 발현량은 증상 중증도와 후각 저하 정도 등 임상 지표와도 밀접하게 연관됐으며, ROC 분석 결과 기존 혈액 지표보다 높은 예측 정확도(AUC 0.894)를 보였다.


나민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환자의 불편을 줄이면서도 높은 정확도로 염증 유형을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었다”며 “맞춤형 정밀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