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덕 삼성서울병원 교수 “혈액형 인종 따라 달라, 국내 수혈시스템 개선해야”
-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의 유전적·인종적 특성을 반영한 국내 수혈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현재 사용 중인 수혈 기준과 혈액...
- 2025-05-29
-
- 얼굴 사진과 설문지만으로 수면무호흡증 위험 예측하는 AI 기술 개발
- 김태준 아주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신혜림 단국대병원, 김지현 이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이 얼굴 사진과 8가지 수면 관련 설문 항목만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
- 2025-05-29
-
-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로 ‘하지불안증후군’ 선별
- 조철현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1저자 정진경·전윤서 고려대 의대생, 김형주 고려대 산업경영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웨어러블 기...
- 2025-05-29
-
- 원자력의학원, 레이메드에 인공지능 기반 방사성의약품 표적 결합력 예측 기술 이전
-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암 치료에 쓰이는 방사성의약품의 핵심 능력인 ‘표적 결합력’을 인공지능(AI)으로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해 방사성의약품 전문기...
- 2025-05-28
-
- 장진우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팀, 세계 최초 뇌심부자극기 이식 환자에 고집적 초음파 수술 성공
- 장진우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뇌심부자극기를 제거하지 않고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해 무도증(舞蹈症)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
- 2025-05-28
-
- 김동현 보라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팀, 암 척추 전이 조기진단 AI 개발
- 암 치료 말기에는 골 전이, 특히 척추로의 암 전이가 나타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대응이 중요해졌다. 김동현, 서지운, 김효진, 이지현, 채지원 서울시 보...
- 2025-05-28
-
- 조형우 서울아산병원 교수팀, 난치성 림프종 CAR-T 치료제 연구 국책과제 선정
- 조형우·윤덕현·형재원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팀은 재발성·불응성 원발 또는 2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키메릭 항...
- 2025-05-28
-
- 크론병으로 막힌 소장, 수술 대신 풍선내시경확장술로 치료 가능
- 크론병으로 소장이 막혔을 때 내시경 풍선확장술만으로도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기존에는 협착이 발생한 소장 부위를 잘라내야 해서 ...
- 2025-05-28
-
- 젊은층은 제외, 고령층은 포기 … ‘위암 검진’ 사각지대, 혈액검사로 가능성 찾았다
- 김나영·최용훈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혈액검사를 통해 위암의 전 단계인 위선종과 조기 위암 고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지표를 ...
- 2025-05-28
-
- 연세대, 암환자 조직병리 사진으로 MSI-H 판별 …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AI 모델 개발
- 정재호 연세대 위장관외과(종양외과, 종양생물학) 교수가 암환자 조직병리 사진을 분석해 면역항암제 효과를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정 교수...
- 2025-05-27
-
- 보라매병원, 국내 최초 4D 심장내 초음파 활용 좌심방이폐색술 성공
- 권순일 서울시 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국내 최초로 소형 4차원(4D) 심장내 초음파(intracardiac echocardiography, ICE)를 활용한 좌심방이폐색술을 성공적으로 ...
- 2025-05-27
-
- 장영우·강웅철 길병원 교수팀, 유럽심장중재학회 ‘Top 3 Late Breaking Trials’ 선정
- 장영우(제1저자)·강웅철(교신저자) 가천대 길병원 심장내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연구한 ‘프라수그렐-기반 1개월 이중항혈소판요법(prasugrel-based dual ...
- 2025-05-26
-
- 원외 발생 심정지(OHCA)후 회복한 10명 중 4명 재입원… 검진·재활 등 집중관리 필수
-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로 인해 입원치료를 받고 생존한 환자 10명 중 4명이 퇴원 후 1년 이내에 다시 주요 심혈관질환으로 입...
- 2025-05-26
-
- 다발성경화증·시신경척수염, 다른 자가면역질환도 부른다
- 다발성경화증과 시신경척수염범주질환 환자는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가면역질환의 하나인 다...
- 2025-05-26
-
- 세브란스병원, 면역세포가 약물을 표적세포로 전달하는 플랫폼 개발
- 약물을 면역세포로 표적 부위까지 이동시켜 약물만 직접 이동시키는 것보다 전달 효율을 높인 새로운 플랫폼이 개발됐다. 성학준‧유승은 연세대 의대 의학...
- 2025-05-26
-
-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 새 전기, 신약후보 ‘KF1601’ 전임상 효능 입증
- 김동욱 의정부을지대병원 혈액내과 교수(을지대 백혈병오믹스연구소장)팀은 차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후보물질 ‘KF1601’이 기존 약물 내성을 ...
- 2025-05-23
-
- 척추관절염 환자서 생물학적제제는 급작스런 중단보다 완만한 감량 중요
- 생물학적제제의 효과가 많이 밝혀져 있지만, 척추관절염 환자에서는 생물학적제제를 사용해 관해에 도달한 이후에는 어떻게 조절할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 2025-05-23
-
- 서울대병원 2014년 개발 심혈관용 인공패치, 우수한 장기 내구성 입증
- 서울대병원 연구진이 소 심낭을 이용해 개발한 심장 및 혈관 재건 치료용 인공패치가 장기적으로 우수한 치료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은 환자...
- 202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