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시각) CNBC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의약품에 소규모 관세(small tariff)를 부과하겠지만 1년에서 1년 반 안에 150%, 그 이후에는 250%까지 인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의약품 관세율과 관련해 “반도체와 함께 다음 주 정도에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초기 관세율이 15%를 넘지 않는 선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미국이 최근 유럽연합(EU)와 체결한 무역협정에서 의약품에 15% 관세를 적용하기로 합의한 점, 한국과 일본이 최혜국대우(MFN)를 받기로 한 점이 근거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트럼프의 언급대로 150~250%의 초고율 관세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번 조치는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 브랜드 의약품과 제네릭, 케미컬과 바이오의약품 구분 없이 전반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지만 EU와의 협정 사례처럼 일부 품목(제네릭 의약품 등)이 제외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국가별로도 동일한 세율이 적용될지는 불확실하다.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수입 의약품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에 따라 차등 부과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토대로 관세가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5년과 2026년에는 최대 15%의 관세가, 2027년에는 150%, 2028년에는 최대 250%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경제연구센는 “미국의 이번 움직임은 의약품 생산기지 이전 압박과 함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할 전망”이라며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시장을 발굴하거나 현지 생산 거점을 확충하는 등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