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MET 유전자, 항암 정밀치료 ‘과녁’으로 유용한 대안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7-30 09:31:40
기사수정
  •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넘어 대장암·위암 등 고형암에서도 유력한 마커
  • 조병철 연세암병원 교수, “EGFR 억제제 저항 보완 전략으로 주목”

폐암을 비롯한 위암 등 고형암에서 ‘MET’ 유전자 표적치료가 기존 표적치료의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병철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이기쁨 교수, 심주성 전공의 연구팀은 과도하게 발현된 MET 유전자를 표적 치료하는 전략을 비소세포폐암(NSCLC)을 넘어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30일 제시했다.

   

MET 유전자는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에 관여한다. 임상 현장에서는 MET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유전자를 표적치료했을 때 항암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돼,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주요 표적으로 자리 잡았다.

   

연구팀은 이러한 MET 유전자 표적치료 전략을 폐암뿐만 아니라 다른 고형암에 확대하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대장암, 위암 등에서도 MET 유전자 이상이 발견돼 표적 치료가 가능해서다. MET 유전자 과발현 여부를 조기에 검사하고 치료 시기를 조절하면 항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실제로 여러 고형암을 대상으로 MET 유전자 억제제 단독 사용은 물론, 면역항암제나 항체약물접합체(ADC)와의 병용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연구팀은 EGFR 억제제에 대해 인체가 보이는 저항성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MET 유전자 표적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EGFR은 과도하게 발현하면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다.   

 

인체가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EGFR 억제제에 저항을 보이면 MET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데, 이때 과발현한 MET 유전자를 표적으로 삼아 치료하면 항암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다.   

조병철 교수는 “기존에 비소세포폐암 항암 치료의 표적으로 삼아온 MET 유전자가 대장암과 위암 등 다른 고형암 환자에게서도 타깃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특히 항암 치료에 널리 사용 중인 EGFR 억제제에 대한 저항으로 MET 유전자 과발현 시에도 또 다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종양학 학술지 ‘네이처 리뷰 임상종양학’(Nature Reviews Clinical Oncology, IF 82.2)에 ‘Evolving roles of MET as a therapeutic target in NSCLC and beyond’라는 논문으로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