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식사시간 조절하는 ‘시간제한 식사법’ … 지방간 개선에 효과, 일반 식이조절만큼 탁월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7-24 10:11:17
기사수정
  • 노원을지대병원·KH한국건강관리협회 공동 연구 … 혈당, 콜레스테롤, 수면시간에선 표준치료와 차이 없어

시간제한 식사(Time-Restricted Eating)가 대사 관련 지방간(MASLD)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제한 식사법은 하루 중 일정 시간에만 식사하고, 나머지 시간은 금식하는 방식이다. 최근 체중 감량에 효과적이라는 입소문을 타 주목받고 있다.

   

안상봉·오주현 노원을지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KH한국건강관리협회 메디체크연구소는 MASLD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의 임상시험을 통해 시간제한 식사법이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지방간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337명의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일반치료, 칼로리 제한 식이요법, 시간제한 식사 등 3개 그룹으로 나눠 임상시험을 시행했다. 이중 시간제한 식사 그룹은 하루 8시간(주로 12시~8시) 중에만 음식을 섭취하고, 나머지 16시간은 금식하는 시간제한 식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시간제한 식사 그룹은 간에 쌓인 지방이 평균 23.7% 감소했으며, 전체 체중도 4.6%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일반 치료그룹(0.7% 지방간 감소)과도 비교했을 때 뚜렷하게 높은 수치다. 반면 칼로리 제한 그룹(24.7% 지방간 감소)과는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냈다.

   

또 체중, 허리둘레, 체지방량 역시 시간제한 식사 그룹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특히 체중의 5% 이상을 감량한 비율도 절반 이상에서 나타났으며, 내장지방 역시 감소하며 대사 건강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는 표준치료인 칼로리 제한식 그룹과 유사한 수준의 개선 효과였다. 주목할 점은 칼로리 제한을 두지 않고, 지중해식 식단과 같은 특별한 식단 변경 없이 기존의 식사를 유지한 채 식사 시간만 조절해도 간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동양인의 식사 습관에 맞춰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다는 점도 유용하다.

   

그러나 혈당이나 콜레스테롤, 수면시간 등의 변화는 시간제한 식사그룹과 칼로리 제한 그룹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간제한 식사가 간 건강 개선에는 효과적이지만, 그밖의 대사 지표나 수면에는 특별한 이점이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안상봉(왼쪽)·오주현 노원을지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이번 연구의 공동 교신저자인 안상봉 교수는 “지방간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방치되기 쉬운 질환으로 심하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조기 관리가 중요하다”며 “시간제한 식사법이 간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고, 꾸준히 실천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간 질환 관련 최고 권위 학술지인 ‘Journal of Hepatology’ (Impact factor:33) 최신호에 게재됐다. 국립보건연구원 학술연구개발 용역과제로 KH한국건강관리협회와 공동 진행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