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임신 중 영양 불균형, 태아 지방간질환 위험 증가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7-10 17:13:09
기사수정
  • 암컷보다 수컷 자손에서 대사이상, 더 크게 나타나
  • 김영주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 동물실험 연구 결과

임신 중 산모의 영양 상태가 태아의 건강뿐만 아니라 성인기 질병 발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건강과 질병의 발달 기원’(Developmental origins of health and disease, DOHaD) 이론이 주목받는 가운데 김영주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이 임신 중 모체의 식단이 자손의 장내 미생물 구성을 변화시켜 대사이상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 임신 중 50% 식단 제한 및 45% 고지방 식단에 노출된 모체에서 태어난 자손을 16주 간 관찰한 결과, 수컷 자손에서 대사이상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체중 변화가 크지 않았음에도 남성 자손의 혈중 중성지방과 렙틴 수치가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이런 변화가 부티레이트(Butyrate) 생산 장내 유익균인 락크노스시라피에(Lachnospiraceae) 계열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이런 대사 변화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수컷 자손에서는 부티레이트 생산 세균의 감소와 함께 혈중 부티레이트 농도가 감소했으며, 이는 간에서의 지질 생성 증가와 산화적 손상으로 이어졌다. 반면 암컷 자손에서는 이런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김영주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

김영주 교수는 “부티레이트는 숙주의 에너지 및 지질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쇄지방산”이라며 “임신 중 모체의 영양 불균형이 자손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변화시켜 부티레이트 생산을 감소시키고, 이것이 간 지방 축적과 대사장애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임신 중 영양 부족과 영양 과잉 모두가 자손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영양 부족이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김 교수는 “출생 후 정상 식단을 섭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신 중 모체 식단의 영향이 지속된 것은 임신 중 적절한 영양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임신부의 영양상담 및 관리지침 개발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향후 인간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를 통해 임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IF-4.653)에 게재됐으며, 한국연구재단과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