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여성 당뇨병환자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 치료 필요성 확인
  • 오민택 기자
  • 등록 2025-07-01 13:54:08
기사수정
  • 폐경 여부·약물 치료·칸디다 감염 따라 미생물 생태계 달라
  • 김민정 가톨릭대 부천성모 산부인과 교수, 서울성모·인천성모 공동 연구

김민정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김명신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이승옥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왼쪽부터)

김민정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이 제2형 당뇨병 여성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한 여성에 비해 현저히 변화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는 김명신 서울성모병원 교수, 이승옥 인천성모병원 교수도 참여했으며, 당뇨병 여성 71명과 건강한 여성 100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당뇨 여성은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가 줄고 유해균 및 혐기성 세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여성 vs 당뇨병 여성 집단별 질내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특히 폐경 이후에는 유익균이 중심인 군집(CST I)이 감소하고 염증성 군집(CST IV)이 증가했으며, 칸디다 감염이 있는 경우에도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이 무너지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혈당강하제인 SGLT2 억제제 복용 시 폐경 전 여성에서는 유익균 보호 효과가 확인됐지만, 폐경 후 여성에서는 오히려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이 급격히 무너지는 경향이 관찰됐다.


김민정 교수는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은 감염과 염증 등 여성 건강과 밀접히 연관돼 있으며, 특히 당뇨나 폐경기에는 그 변화가 심각할 수 있다”며 “혈당 조절뿐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옴을 포함한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여성의 질 건강과 관련한 당뇨병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25년 6월 25일자 국제학술지 Microorganisms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