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뇌졸중 발병 1년 내 심방세동 발생 위험 가장 높아 … 뇌경색은 7배, 뇌출혈은 4배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6-26 09:21:25
기사수정
  • 뇌졸중 발병 초기에 심방세동 주의해야 뇌졸중 재발 막는다
  • 신동욱 삼성서울병원·한경도 숭실대 교수팀, 뇌졸중 생존 환자 분석 결과

뇌경색, 뇌출혈과 같은 뇌졸중 발생 이후 일정 기간 내 심방세동이 새롭게 진단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흔히 심방세동 부정맥이 뇌졸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강지훈 고신대복음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유정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뇌졸중 생존 환자에서 심방세동 발병 위험의 변화를 추적 분석했다.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KNHIS) 자료를 바탕으로 2010~2018년에 건강검진 이력이 있는 뇌경색 환자 9만8706명, 뇌출혈 환자 4만7695명을 일반인 대조군과 비교 분석한 결과, 뇌경색 환자는 전체 추적 기간에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2.3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뇌경색 진단 첫 해에는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7.32배까지 증가했으며, 1년 이후에도 심방세동 발생 위험은 1.64배로 여전히 높게 유지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스트로크’(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IF=6.3) 지난 5월 26일자에 ‘The long-term risk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ischemic stroke: A propensity-score matching analysis’라는 논문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 대조군은 환자군과 연령·성별뿐 아니라 소득수준, 거주지역, 흡연·음주·운동·체질량지수(BMI)·기저질환 등을 고려해 1대1로 성향을 맞춰 다른 요인으로 심방세동이 발병했을 경우를 최대한 배제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뇌출혈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이 앞서 지난 3월 써큘레이션(Circulation, IF=35.6)에 보고한 ‘Risk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Hemorrhagic Stroke: A Nationwide Cohort Study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논문에 따르면 뇌출혈 환자의 심방세동 위험은 1.24배 높았으며, 발병 후 1년 이내에는 4배까지 상승했다. 1년 이후에는 위험 수준이 대조군과 유사해졌다.

   

연구팀은 이들 연구결과를 놓고 뇌졸중 이후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나 전신 염증 반응 등으로 심장의 전리생리적 불안정성이 유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뇌졸중이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등 심방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유발해 심방세동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뇌졸중 진단 직후에는 입원, 외래진료, 심전도검사 등이 집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기존에 발견되지 않았던 심방세동이 새로 진단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동욱 교수는 “심방세동은 뇌졸중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대로 뇌졸중 이후 심방세동이 진단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특히 뇌졸중 이후 1년간은 심방세동 발생이 집중되는 만큼,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뇌졸중과 심방세동의 공통된 위험요인에 대한 통합적 예방과 관리를 통해 재발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