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두통약 끊어야 두통 낫는다” 약물과용두통 치료 효과 확인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3-19 09:41:51
기사수정
  • 박홍균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 연구, 약 중단 3개월 만에 두통 일수 절반 줄어
  • 두통약을 줄이는 게 치료의 시작 … 예방적 치료제는 선별적으로 써야

약물과용두통(medication‑overuse headache) 환자들이 급성기 두통약을 즉각 중단하고 적절한 예방 치료를 받았을 때, 3개월 만에 두통 빈도와 강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과용두통이란 △두통 환자가 한 달에 15일 이상 두통을 경험하고 △두통 치료를 위해 급성기 치료제를 ‘과용’한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등 일반 진통제의 경우 월 15일 이상, 트립탄 등 편두통 특이 약물의 경우 월 10일 이상 복용 시 약물 과용 상태로 간주된다.

박홍균 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

박홍균 인제대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2020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국내 7개 신경과 전문 클리닉에서 309명의 약물과용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간의 치료 경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과용하던 급성기 치료제를 감량한 환자군에서는 월평균 두통 일수가 치료 전 24일에서 치료 후 12일로 감소했다. 완전히 중단한 환자군에서는 두통 일수가 9일로 15일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반면 급성기 치료제 과용을 유지한 환자들은 두통이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부에서는 증상 악화가 나타났다.

   

박홍균 교수는 “약물과용두통 환자는 두통약을 지나치게 자주 복용할수록 두통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을 보인다”며 “아프니까 약을 먹는 것이지만, 자주 복용할수록 오히려 더 잦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약물과용두통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연구팀은 환자들에게 기존에 과사용하던 두통약을 중단함과 동시에 예방 치료를 적극 고려할 것을 권고했다.

   

예방적 치료법으로는 △보톡스 주사(OnabotulinumtoxinA) △항-CGRP 단일클론항체(편두통 예방 주사) △경구용 예방약이 사용됐다.

   

예방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두통 일수와 강도가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두통약을 끊는 것이 우선이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예방치료와 생활습관 교정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약물과용두통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지목한 질환으로, 특히 만성 두통 환자에서 증가세다. 

   

박홍균 교수는 “만성 두통을 겪는다면, 먼저 두통약 복용 빈도를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며 “무조건 약을 먹기보다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IF=3.8) 최근호에 ‘Three‑month treatment outcome of medication‑overuse headache according to classes of overused medications, use of acute medications, and preventive treatments’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