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최진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미만형 위암 전이 유발 단백질 ‘피불린-5’ 규명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8-04 09:48:02
기사수정
  • 암세포 이동 촉진, 예후 악화시켜 … 혈액 검출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활용 가능성 제시

최진주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위암 세포 주변의 섬유세포가 분비하는 ‘피불린-5’(Fibulin-5) 단백질이 암세포의 이동성과 전이를 촉진하는 데 관련이 있으며, 미만형 위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또 실제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피불린-5가 많이 발현된 환자일수록 생존율이 낮고 암 진행 정도도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나,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피불린-5는 환자의 혈액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미만형 위암의 예후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진주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이번 연구는 암세포 중심의 기존 치료 전략을 넘어, 암 주변 종양미세환경의 역할에 주목해, 위암의 전이와 예후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며, “향후 위암 환자의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IF) 10 이상 또는 분야별 상위 3%에 속하는 세계적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발표한 국내 과학자들을 소개하는 ‘한국을 빛낸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됐다.

   

조기 발견이 어렵고 예후가 나쁜 ‘미만형 위암’의 전이와 진행 원인을 밝힌 연구로, 병리학 학술지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IF=12.9)에 최근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