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삼출성 중이염 환기관 삽입술 환자 40% 감소
  • 정종호 기자
  • 등록 2025-02-20 11:22:33
기사수정
  • 안중호 서울아산병원 교수, 2017~2023년 분석 … 마스크 착용 등 방역조치로 상기도 감염 줄어
  • 만성 중이염, 선천성 이개누공, 안면신경마비 발생률엔 영향 없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개인위생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가 시행되면서 병원을 찾은 감기 환자들이 줄었다는 통계가 나온 바 있다.

   

코로나19가 유행한 시점에 이비인후과 질환의 발생률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됐는데, 코로나19 발생 후 3년간 삼출성 중이염 환자가 크게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중호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국내 3개 병원의 이비인후과 질환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팬데믹 기간 삼출성 중이염으로 인해 수술을 받은 환자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2019년) 대비 평균 40% 감소했다고 20일 밝혔다.

   

삼출성 중이염은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에 삼출액이 차는 질환으로 주로 코, 인두, 후두 등 상기도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을 통해 상기도 감염이 줄어들면서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 또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안중호 교수팀은 2017~2023년에 서울아산병원, 울산대병원, 강원대병원의 환자 데이터를 이용해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 선천성 이개누공, 안면신경마비(벨 마비) 등 이비인후과 질환의 연간 발생률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삼출성 중이염으로 환기관 삽입술을 받은 환자는 2019년 893명이었지만 코로나19 유행이 본격 시작된 2020년에는 562명을 기록해 환자 수가 37%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83명, 545명으로 2019년 대비 45.9%, 38.9%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된 2023년 환기관 삽입술을 받은 환자 수는 779명으로 전년 대비 42.9%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각종 방역조치가 해제되고 비염, 이관염 등 감염성 질환이 늘어나면서 삼출성 중이염 발생률 역시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만성 중이염, 선천성 이개누공, 안면신경마비 발생률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유의미한 연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안중호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귀 질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안중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이비인후과 질환의 발생 패턴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백신, 각종 방역조치가 이비인후과 질환에 미친 영향과 연관성을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이비인후과 저널’(Acta Oto-Laryngologica, IF=1.4) 최근호에 게재됐다.

1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동아에스티
정관장몰
차병원
탁센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동국제약
인하대병원
중앙대의료원
아주대병원
애브비
화이자
부광약품
한국다케다제약
동아ST
신풍제약주식회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
휴온스
하루 동안 이 창을 다시 열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