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의 체외배양을 통해 항암제 반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기존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암 환자에서 내성 극복의 해결책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려대의료원은 정석 고려대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와 사경학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김현호 하버드 의과대학 박사, 이혜원 국립암센터 비뇨의학과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환자의 암세포를 암 주변의 세포와 함께 배양해 암세포에 대한 약물 저항성을 확인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환자 맞춤형 치료를 위해서는 암세포의 유전체 정보와 특성, 암조직 환경을 고려해 약물을 선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양의 유전적 특성이 워낙 다양한 탓에 유전체 정보만으로는 적합한 표적항암제를 제시하기 어렵다.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만으로는 실제 인간의 다양한 세포와 종양 미세환경을 대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의 세포를 이용해 암세포가 자라던 원래 환경의 특성을 재현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정석 교수팀은 미세유체 칩 기술을 이용해 암환자에게서 분리한 암세포가 그 주변의 특수한 환경에서 자라도록 만들었다.
뇌전이가 일어난 폐암을 핵심 타깃으로 개발한 점이 특징적이다. 폐암 세포가 뇌로 전이되면 뇌혈관장벽(BBB), 성상세포와 같이 뇌라는 장기의 특수성으로 인해 기존 항암제가 듣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데서 착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