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발성 난소암, 올라파립·베바시주맙·펨브볼리주맙 3제 유지요법 무진행 생존기간 22.4개월
-
한독-대한가정의학회, 제9회 일차의료 학술상 수상자 발표
-
“간문맥 침범 간암에 면역항암제 더 효과적” … 1년 생존율 통계적 유의미
-
빈진혁 연세대 교수팀, 유방암 표적항암치료 무력화시키는 유전자 발견
-
서울대병원, 중증 지주막하출혈 사망률 개선하는 5가지 '묶음 치료' 제안
-
韓-美 합동 연구팀, 새로운 6가지 유형 ‘위암’ 유전자적 분류 체계 발표
-
미토콘드리아 유래 항상성 유지 펩타이드 ‘SHLP2’, 비만·당뇨병 치료 가능성
-
폐경 이전 젊은 유방암, 난소 억제제 병용하면 치료 효과 상승
-
-
백신 미접종 코로나19 감염자, 안면마비 위험 84%↑
-
인공와우, 고도난청 2,000명에 듣는 기쁨 선사
-
연세대, 자폐증 어린이 사회성 높이는 메타버스 훈련 프로그램 개발
-
뇌졸중 발병 위치 따라, 심장 기능(좌심실 박동) 손상 양상 달라져
-
국내 3~4기 난소암, ‘하이펙(HIPEC)’ 치료효과 국제적 인정
-
지름 2cm 이하 위점막하종양도 내시경절제술로 진단 및 치료 필요
-
급성 뇌경색 환자, ‘동맥 내 재개통 치료’ 후 지나친 혈압 조절은 금물
-
봉합술 불가 노인층 회전근개 파열에 ‘역행성 인공관절치환술’ 시술 증가
-
차의과학대, 자궁내막증 유발하는 후성유전학적 조절 과정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