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주과학회와 동국제약은 2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임플란트 성공과 실패, 사후관리가 좌우합니다’라는 주제로 ‘제17회 잇몸의 날’(매년 3월 24일) 행사를 진행했다.
올해는 고령화 및 식습관 변화로 증가하는 있는 임플란트 치료로 인해 겪기 쉬운 ‘임플란트 주위질환’에 대한 위험 요소와 올바른 사후관리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한치주과학회와 동국제약이 20일 올해 ;잇몸의 날' 행사에서 치아 임플란트 시술 후 합병증인 임플란트주위질환의 사후관리 중요성을 홍보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박진영 연세대 치과대학병원 치주과 교수는 임플란트 시술 후 사후관리가 부족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임플란트 주위질환인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연구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자의 43%가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을, 22%가 임플란트 주위염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자 5명 중 3명이 주위질환을 겪는다는 의미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달리 치주인대가 없어 염증 발생 시 통증을 느끼기 어려우며, 증상을 자각했을 때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심한 경우 골 소실이 발생해 재건수술을 해도 원래대로의 복원이 어려울 수 있다.
김윤정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유지를 위해 구강 위생관리와 정기검진 및 치주치료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임플란트 주위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치주질환 병력(2.29배) △구강 위생 불량(3.8배) △ 조절되지 않는 당뇨뵹 (2.75배) △흡연(5.89배) △골다공증 치료제(2.69배) △과도한 음주(2.3배)와 같은 환자 요인과, △지대주 및 보철물의 형태 △점막 하방 시멘트 잔존 △주위 연조직의 형태와 두께 △식립 위치 이상 등 임플란트 요인이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를 건강하게 오랜 기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정기검진을 통해 잇몸치료를 꾸준히 받고, 구강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민경만 대한치주과학회 홍보부위원장은 ‘임플란트 사후관리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임플란트 시술자의 60%가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자의 3.5%만이 합병증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지만 이는 대부분의 환자가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가 나중에서야 문제를 인식하기 때문이라 설명했다. 실제로 89.4%는 불편하지 않아서 임플란트 사후관리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또 다른 치아의 불편함으로 치과를 방문한 환자에게서 심각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견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임플란트 주위질환은 자각 증상이 늦어 조기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정기 검진과 철저한 사후관리가 필수이다.
김성태 서울대 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임플란트 유지치료의 이상적인 간격은 수술 후 초기 1년 이내에는 3개월, 이후 환자 개인별 임플란트 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저위험군의 경우 6개월로 늘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치아관리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 관리에도 ‘3.2.4 수칙’이 유효하다고 제안했다.
이 수칙은 △하루 세(3)번 이상 칫솔질 △일년에 두(2)번 스케일링 △사(4)이사이 치간칫솔 사용 등이다.
김성태 교수는 무엇보다 자가 구강위생 관리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기계적 세정, 이와 더불어 화학적 세정, 보철물 조정, 방사선 및 임상 검사 등 치과 정기검진을 통한 사후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설양조 대한치주과학회 회장(서울대 치과병원 치주과 교수)은 “임플란트의 성패는 단순히 시술 과정에 국한되는 게 아니라, 환자의 꾸준한 사후관리와 정기검진에 달려 있다”며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자의 60%가 관리 부족으로 주위질환을 겪고 있는 만큼, 철저한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알려야 한다”고 밝혔다.
송준호 동국제약 대표이사는 “초고령사회에 시의적절한 주제를 갖고 대한치주과학회와 함께 잇몸의 날을 공동주최하게 되어 기쁘다”며 “지난해 스위스 의약품청으로부터 일반의약품 허가를 받은 이후 본격적인 유럽 수출을 앞두고 있는 잇몸약인 ‘인사돌’ 브랜드를 보유한 제약 기업으로서, 국민들의 잇몸 건강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동국제약은 ‘잇몸의 날’ 주간을 맞아 ‘임플란트 사후관리’를 주제로 공개강좌, 카드뉴스 및 웹툰 제작 등 온·오프라인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