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불량이나 속쓰림에 나타나면 대개 위장약이나 소화제 등으로 자가치료를 하거나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분별한 약제 복용과 안일한 태도는 가벼운 위장병을 위궤양이나 위암으로까지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위가 보내는 위험 신호를 무시하다 화를 입는 것이다.
위암은 국내에서 유독 발생 빈도와 사망률이 높다. 국내 위암 발병률은 세계 1위다. 해마다 인구 10만명당 50~60명의 위암 환자가 발생한다. 미국의 10배 수준이다. 2019년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를 보면 2017년 국내에서 새롭게 발생한 위암은 2만9685건으로 전체 암 발생 23만2255건의 12.8%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57.9건이었다.
김진조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위암 환자가 많은 이유는 높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률과 평소 염분이 많은 장(醬)류나 국물을 즐겨 먹는, 짜고 매운 음식 위주의 식습관과 깊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잘못된 식습관 등 원인 추정
위는 식도와 소장(십이지장) 사이를 이어주는 소화관이다. 식도를 통해 내려온 음식물을 잠시 저장하고 일부 소화작용을 거쳐 소장으로 내려 보낸다.
위암은 위에 생기는 암을 두루 이르는 말이다. 위 점막세포가 지속적으로 자극받고, 손상된 위 점막이 위축되거나 위 점막세포가 소장이나 대장의 점막세포와 비슷한 모양으로 바뀌면서 위암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은 위점막의 선세포에서 발생하는 위선암이다. 위선암은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모양에 따라 다시 여러 종류로 나뉜다. 점막에서 성장하기 시작해 점점 크기가 커지면서 위벽을 침범하며 주변 림프절까지 옮겨 자란다. 더 진행되면 다른 장기로까지 전이될 수 있다.
이밖에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림프종’, 위의 신경 및 근육 조직에서 발생하는 ‘간질성 종양’, ‘육종’,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경내분비암’ 등이 모두 위의 악성종양에 포함된다.
위암의 위험요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만성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 등 위암 관련 질병 △짜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가공육류에 들어 있는 질산염 화합물 섭취 등 식생활 △흡연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많은 환자들이 위암 초기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실제 조기 위암 환자의 80% 이상에서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김 교수는 “소화기질환은 누구나 한 번쯤 앓아봤을 정도로 흔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지만 소화기암의 전조일 수도 있다”며 “위암 역시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대부분 속쓰림이나 더부룩한 소화불량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위궤양이나 위염 등 가벼운 질환으로 간과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위암은 3기나 4기까지 진행된 후에야 구토를 하거나 배가 쉽게 부르며 음식을 삼키기 힘들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체중 감소나 복통, 헛구역질, 구토, 식욕저하, 더부룩한 증상, 공복 시 속쓰림, 연하곤란, 토혈 및 혈변, 검은 변 등 소화기가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위내시경 통해 진단… 조기위암은 내시경으로 즉시 치료
위 질환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는 위내시경이다. 위염, 위궤양뿐 아니라 위암, 식도염, 식도암, 십이지장궤양 등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하는 위내시경검사는 일반내시경과 수면내시경이다. 일반내시경은 식도를 지날 때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수면내시경이 일반내시경과 다른 점은 ‘미다졸람’ 등 수면유도제를 사용해 검사자를 진정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약물의 특정 성분으로 인해 내시경 당시 기억을 잃어버리게 돼 사람들은 ‘잤다’고 기억한다. 초음파내시경은 내시경검사에서 특수한 병변이 보일 때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 실시한다.
위암은 위점막 상피에서 암세포로 자라나기 때문에 내시경을 통해 위점막을 관찰하고 의심되는 부위를 떼어 조직검사해 암세포를 확인하는 것으로 위암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을 통해서는 진단이 어렵다. CT는 위암이 진단된 경우 다른 장기나 림프절로 전이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위암 치료는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결정한다. 김진조 교수는 “조기 발견해 암의 크기가 크지 않고 점막층에 국한돼 있고 암세포의 분화도가 좋으면 위를 절제하지 않고 내시경하 점막박리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며 “수술 후 발생하는 식이장애를 최소화해 일상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단 조직검사 결과 확인 후 추가적 위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복강경수술이나 로봇수술이 발달해 환자의 수술로 인한 육체적 부담이 많이 줄었다. 복강경 위절제술은 환자의 배를 20㎝가량 절제하는 개복수술과 달리 복부에 0.5~1.0㎝ 크기의 작은 구멍을 통해 복강경 및 복강경용 기구들을 넣어 위와 림프절을 절제하는 수술이다. 복강경이나 로봇 위절제술은 기존 개복수술과 같은 범위의 위와 림프절 절제를 하면서도 통증이 적고 회복 기간이 짧은 게 특징이다. 위암 3기, 4기 환자는 항암치료를 병행해야 하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 수술 뒤에도 재발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짜고 맵고 기름진 음식 피하고, 40대 이후 1~2년마다 내시경 받아야
위암의 예방에서 식이요법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분이 많이 들어 있는 젓갈류, 김치와 같은 염장 음식, 국과 찌개 등은 위암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 또 불규칙한 식사습관을 고치고 소화가 잘 안 되는 음식은 피해야 한다.
조리법은 튀기기보다 끓이며, 굽기보다는 삶는 게 좋다. 가급적 조미하지 않고 식품 본연의 맛과 향을 담백하게 즐기는 게 권장된다. 밤에는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위산 분비가 줄어 섭취한 음식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므로 늦은 밤 야식 습관은 피한다.
또 맵고 짜거나 기름진 자극적인 음식은 만성적으로 위 점막을 자극해 점막이 얇아지는 위축성 위염을 유발할 수 있다. 탄 음식에는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면역력이 떨어진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모든 병에 걸리기 쉽다. 특히 위는 스트레스에 약하고, 위암은 스트레스와 밀접하다. 스트레스가 소화효소의 분비를 막고 위장운동을 위축시켜 소화를 방해한다.
운동은 규칙적으로 가볍게 하는 게 좋다. 가급적 매일, 적어도 일주일에 세 번 이상, 30분에서 1시간씩 가벼운 산책 등 몸에 약간 땀이 나는 강도를 추천한다.
알코올은 위 점막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빈속에 마시는 술은 위벽에 치명적이다. 흡연은 소화기암 발생의 최고 위험 인자로 꼽힌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2~3배 높다.
김진조 교수는 “위암 예방엔 식생활 개선이 필수로, 부모가 평소에 잘못된 식습관을 가지면 아이들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신은 물론 자녀들의 위암 발병을 막기 위해서라도 식생활을 바꿔야 한다”며 “위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40대 이후부터는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1~2년에 한 번은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