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C, YAP1, MMP13, CDKN2A/B 유전자 변이 발생 확인 … 같은 암세포라도 폐와 뇌서 유전자 변이 달라
폐암이 뇌로 퍼져 발생한 악성 뇌종양을 맞춤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백선하 서울대병원 신경외과‧박성혜 병리과 교수팀은 미국 하버드의대 부속병원(MGH), 다나파버 암연구소와 공동으로 원발 폐암과 전이성 뇌종양이 유전자 변이 과정에서 각각 다른 유전적 특징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이 특성을 파악하면 표적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암의 전이성 뇌종양은 악성종양으로, 최근 환자가 늘고 있지만 충분한 연구가 없어 치료는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원발성 폐암이 뇌로 퍼진 전이성 뇌종양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유전자 변이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원발성 폐암과 달리 전이성 뇌종양에서 MYC, YAP1, MMP13, CDKN2A/B 유전자 변이가 새롭게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같은 암세포라도 폐 부위와 전이된 뇌 부위의 암세포 유전자 변이가 서로 달랐다.
변이 특성에 맞춰 표적 치료 계획을 세우면 지금보다 뛰어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는 폐암 전이성 뇌종양 표적치료에 매우 중요한 발견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백선하 교수는 “2015년 캔서디스커버리(Cancer Discovery)에 MGH와 공동으로 전이성 뇌종양에서만 관찰된 유전자변이를 발표했다”며 “이번 논문은 그 때의 후속 연구로 두 병원간의 긴밀하고 지속적인 공동연구의 결실”이라고 말했다.
박성혜 교수는 “향후 폐암으로부터 전이된 뇌종양 연구와 치료법 결정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백선하‧박성혜 서울대병원 교수팀과 프리실러 브라스티아노스미국 하버드의대 부속병원(MGH) 종양내과 교수팀, 스콧 카터 다나파버 암연구소 교수의 공동 연구로 이뤄졌다.
특히 서울대병원과 MGH, 양 기관은 그간 14차례의 화상회의를 통해 환자의 증례와 치료법을 공유했다. 서울대병원 측은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과 MGH가 2013년부터 이어 온 협력의 결실로 이 밖에도 다수의 공동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쳐 제네틱스(Nature Genetics)’ 온라인판 3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