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넘어지는 노인들, 10년간 고관절골절 2배 증가
  • 박정환 기자
  • 등록 2019-08-22 17:49:51
  • 수정 2020-09-22 11:48:31
기사수정
홍상모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골절이 생기면 ‘운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또는 물을 튀며 샤워를 한 가족들을 원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골절의 발생은 운이나 타인의 잘못이 아닌 골다공증에 의한 가능성이 높다. 특히 고령인구에서 많이 나타나는 골다공증에 의한 고관절골절은 높은 사망률과 관계가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국내 고관절골절 환자가 10년간 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고령층일수록 고관절골절 발생률과 1년 내 사망률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내분비내과 홍상모 교수 연구팀은 ‘국내 고관절골절 발생률 및 고관절골절 발생 후 사망률 연구(The incidence of hip fracture and mortality rate after hip fracture in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 논문은 대한골다공증학회 저널(Osteoporosis and Sarcopenia)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정보자료를 바탕으로 고관절골절로 진단받은 50세 이상 환자(진단코드: S72.0, S72.1)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관절골절 환자는 2006년 1만7479명에서 2015년 3만2332명으로 1.85배 증가했다. 고관절골절 발생률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연령별 인구수를 바탕으로 분석했으며, 이 결과 2006년 십만명 당 166.2에서 2015년 190.4로 1.15배 증가했다.
 
성별로는 2015년 고관절골절 남성환자는 9266명이지만 여성은 2만3066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5배가량 많았다. 하지만 1년 이내의 사망률은 여성은 십만명 당 177.7이지만 남성은 260.3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5배 가량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50~79세까지에서 10년간 고관절골절 환자수가 증가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그 발생률이 감소추세로 변하고 있었다. 그러나 70세 이상 연령부터는 10년간 지속적으로 발생률이 높아졌으며, 90세 이상에서는 발생률이 1.68배로 가장 높아졌다.
 
같은 기간 고관절골절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2006년 1000명당 206.6명에서 2015년 201.4명으로 약간 감소했다. 사망자는 2006년 3612명에서 2015년 6511명으로 늘었지만 50대 이상 인구의 증가폭과 비교하면 감소한 수치였다. 그러나 같은 기간 여성의 사망률은 10% 감소한 반면 남성의 사망률은 오히려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골절 발생률과 사망률 모두 나이가 많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5년 90세 이상의 십만명 당 고관절골절 발생률은 2061.7로, 50대의 25.9보다 무려 80배 높았다. 사망률 역시 50대는 1000명당 73.8명이었지만, 80세 이상에서는 274.2명으로 3.7배 높아졌다.
 
홍상모 교수는 “이번 연구로 10년간 고관절골절 환자가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고관절골절이 발생하면 1년 이내에 환자 중 20%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령화 인구의 증가는 고관절골절 증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고 우리나라는 세계 모든 국가 중에서 가장 고령화속도가 빠른 만큼 국내 고령인구의 고관절골절 발생을 줄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골다공증은 우리나라 50세 이상에서 5명 중 1명꼴로 겪고 있고 특히 노년기에 흔한 질환”이라며 “뼈에 구멍이 많이 생겨 뼈가 약해지고 약한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는 골다공증 환자는 쉽게 고관절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골다공증은 증상이 없는 병이기 때문에 60세 이상이라면 1, 2년마다 골밀도검사를 받고,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 이후 한 번쯤 골밀도를 확인해 적절한 약물치료, 운동, 칼슘 및 비타민D를 보충해 골다공증성 골절을 예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