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종·김원석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휴대용가속계(운동속도·거리 등을 수치화해 나타내는 기기)로 뇌졸중 환자의 신체활동과 에너지 소모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13일 발표했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세포가 파괴되는 질환이다. 뇌손상 부위에 따라 서자마비, 언어장애, 연하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는 신속히 병원에 옮겨 급성기치료를 실시하고, 입원 중 보행재활·상지재활 등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집중 재활치료를 지체없이 시작해야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일상생활 복귀를 앞당길 수 있다.
뇌졸중 재활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마다 다른 재활치료 참여도, 치료시간 외 활동 등의 차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로 개인별 맞춤 재활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하지만 환자의 활동량을 수치화하려면 추가 인력을 투입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거나, 보호자나 환자가 직접 관찰일지를 작성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웠고 데이터 정확도도 떨어졌다.
이에 백남종 교수팀은 입원재활을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휴대용가속계를 착용케 한 뒤 모니터링 효과를 분석했다. 2015년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해 재활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총 3일(72시간) 동안 연속으로 양쪽 손·발목에 가속도계를 착용하고 생활하도록 했다. 오전 9시~오후 5시 일과시간엔 연구자가 30분 간격으로 환자활동에 대한 관찰일지를 작성했다.
연구 결과 하루 중 휴대용가속계 평균 착용시간은 21시간이었다. 이는 가속계를 편안하게 장시간 착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휴대용가속계를 이용해 측정된 에너지 소모량과 연구자가 직접 운동강도·시간·종류·자세 등을 상세히 기록한 관찰일지와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가 0.89에 달해 기기 사용의 타당성이 증명됐다.
일관된 결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신뢰도 분석에서는 가속계 이용에 대한 상관계수가 0.95 이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김원석 교수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한 다양한 웨어러블기기는 추가 인력 없이 환자의 재활치료 참여 정도, 에너지소모량 등의 정보를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개별화된 맞춤형 재활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며 “착용하기 편하고 정확도 높은 기기가 조속히 도입돼 실제 임상에 적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백남종 교수는 “뇌졸중 등 급성으로 발병해 오랜 회복기가 필요한 신경질환은 치료 중은 물론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며 “휴대용가속계는 적절한 재활치료, 환자 참여 여부, 회복경과, 퇴원 후 기능유지 등 대한 중요한 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해 재활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2018년 12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