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실 중앙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가정의학과 교수와 박상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공동1저자 김성민 연구원)은 공복혈당 변화가 크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 발생률과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이 없는 40세 이상 국내 성인 26만487명을 대상으로 2년간의 공복혈당 변화가 8년 뒤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관찰했다.
공복혈당이 100㎎/㎗ 미만이면 정상, 100~126㎎/㎗이면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126㎎/㎗ 이상이면 당뇨병을 의심(사실상 당뇨병 진단)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정상, 공복혈당장애, 당뇨병 의심 같은 각각의 공복혈당검사 결과가 2년 후 어떻게 변화했느냐에 따라 10년 뒤 심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2년 간격으로 시행된 국가건강검진에서 정상이었다가 당뇨병 의심 진단을 받은 사람은 8년 뒤 공복혈당이 모두 정상으로 나온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약 20%, 총 사망위험은 56% 상승했다.
또 첫번째 검진에서 공복혈당장애, 2년 뒤 당뇨병 의심 판정을 받은 사람은 계속 공복혈당장애 판정을 받은 사람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65%, 총 사망위험이 16%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이 전혀 없는 사람도 공복혈당이 높아지면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발생 및 사망 위험이 증가했다.
이경실 교수는 “지금까지 한 시점에서의 공복혈당과 심혈관위험도를 보는 연구는 일부 있었지만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혈당치 변화가 뇌심혈관계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결과 당뇨병이 없는 일반인도 혈당이 높아지면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이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져 혈당 조절을 통한 심혈관질환 예방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공복혈당 변화에 따른 심근경색, 뇌졸중 및 사망위험(The effect of change in fasting glucose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all?cause mortality: a nationwide cohort study)’이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