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과 스키, 스케이트, 스노보드 등 겨울에만 할 수 있는 스포츠활동으로 즐거움을 만끽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짜릿한 쾌감 속에 자신의 실력보다 더 난이도 높은 코스를 선택하거나 부상 예방 수칙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부상을 입기 쉽다. 영하의 날씨로 관절이 굳어있다면 작은 충격에도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겨울 산행, 중·장년층 나이들수록 쉽게 다쳐
하얀 눈으로 가득 찬 설경을 보는 매력에 빠져 등산에 나서는 중·장년층이 늘고 있다. 그에 못지 않고 곳곳에 위험요소도 산재한다. 등산로엔 잔설이 남아 있어 조금만 부주의해도 낙상사고 위험이 크다. 추운 날씨에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하체에 힘을 주면 무릎과 발목에 무리가 가기 쉽다.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는 중·장년층은 하산할 때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주위 경관을 둘러보다 보면 바닥에 주의를 기울이기 쉽지 않아 발을 헛디디기 쉽다. 또 하산 시 무릎에 체중의 수 배에 가까운 하중이 실리는데, 무릎연골이 약해진 중년층은 연골이나 연골판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평균 체중보다 몸무게가 더 나가는 사람은 하산 중 무릎 부상의 발생 위험이 높다.
남창현 목동힘찬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젊은층은 어지간한 외상이 아니고는 연골이나 연골판이 손상되지 않지만 중년층에서는 연골이나 연골판이 퇴화되면서 작은 외상에도 쉽게 손상될 위험이 더 커진다”며 “나이가 들면 연골 기질 성분이 변화하면서 수분 함량이 줄고 섬유질도 퇴행돼 외부충격에 약해지고 점차 쉽게 손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겨울 산행을 시작하기 전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주고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 코스를 선택하는 게 중요하다.
겨울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배짱과 호기는 금물
설원을 누비는 짜릿한 쾌감에 스키장을 찾게 된다. 설상 스포츠는 상대방과 충돌하거나 넘어지는 과정에서 관절 부위에 부상을 초래한다. 추운 날씨로 관절이 굳어 있으면 작은 충돌에도 부상이 커질 수 있다. 대부분 가벼운 찰과상이나 타박상이 많으나 심하면 골절, 인대손상, 탈구 등이 발생한다.
스키로 인한 대표적인 부상으로는 ‘십자인대파열’을 꼽을 수 있다. 스키를 신은 발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충돌이나 외부의 힘에 의해 무릎이 약간 구부러진 채 과도하게 회전하거나, 중심을 잃고 뒤로 주저앉으면 십자인대가 파열되기 쉽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손상 부위가 붓고 심한 무릎통증이 발생하며, 방치 시 허벅지뼈와 정강이뼈를 연결하는 십자인대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연골판까지 함께 손상될 수 있다.
스노보드도 양발이 보드에 묶여 있는 만큼 부상 위험이 크다. 스노보드를 타면 수직 방향인 앞뒤로 넘어지다가 손목골절을 입기 쉽다. 넘어질 때 손으로 땅을 짚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충격이 팔 전체로 전해지면 손목뿐 아니라 팔, 어깨까지도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부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운동 전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이완해야 한다. 속도감 있게 내려오다가 갑작스럽게 방향을 트는 동작은 삼가야 한다. 타다가 균형을 잃으면 손으로 땅을 짚는 대신 다리를 들고 몸통 전체를 이용해 땅에 미끄러지듯 넘어져야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손목 보호대나 헬멧, 무릎 보호대 같은 보호 장비를 꼼꼼히 챙기는 것도 중요하다.
스케이트, 고관절과 발목 건강 주의해야
스케이팅은 단단한 얼음판을 질주한다. 따라서 자칫 잘못해 넘어지면 온몸이 성한 데 없이 멍드는 것은 물론 심하면 골절이 발생되기 쉽다. 엉덩이와 발목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고관절을 다친 후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면 치유가 어렵거나 수술 후 오랜 재활기간이 필요하므로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는 게 현명하다. 스케이트화가 잘 맞지 않거나, 실수로 미끄러져 발목을 접질리는 경우도 많다. 이때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발목염좌를 겪게 된다. 발목이 붓거나 통증이 뒤따르므로 보존적 치료가 요구된다.
부상을 막으려면 안전장비를 갖추는 게 우선이다. 헬멧과 보호대 등을 착용해 넘어졌을 때 관절에 직접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빙판이 미끄럽고 딱딱한 만큼 과격한 움직임은 자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