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을 제대로 보기 힘들어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신경인성 방광질환 환자가 최근 5년새 10만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일수록 환자 비율이 급증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2016년 신경인성 방광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30만1000명에서 41만5000명으로 연평균 6.6%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남성은 11만명에서 14만8000명으로 연평균 6.1%, 여성은 19만명에서 26만6000명으로 6.9% 늘었다.
2016년 기준 연령대별 환자는 70대 이상이 14만2000명(34.1%)으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8만명(19.4%), 50대 7만2000명(17.4%)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 3만9000명(26.0%)·60대 2만6000명(17.7%)·50대 2만3000명(15.2%), 여성은 70대 이상 10만3000명(38.7%)·60대 5만4000명(20.3%), 50대 4만9000명(18.6%) 순이었다.
이석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비외상성 신경인성방광은 주로 노인층에서 많이 발병하고 특히 남성은 나이를 먹을수록 전립선비대증과 방광수축력 저하로 잔뇨량이 늘면서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며 “여성은 고령일수록 말초신경 및 중추신경 장애로 배뇨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2016년 인구 10만명 당 연령대별 환자는 남성의 경우 70대 이상이 2205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1044명, 50대 543명 순이었다. 여성은 70대 이상 4014명, 60대 2029명, 50대 1206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 질환 치료에 소요된 진료비는 2011~2016년 511억원에서 844억원으로 334억원 늘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0.6%였다. 같은 기간 입원진료비는 48억원에서 99억원으로 연평균 15.7%, 외래진료비는 463억원에서 746억원으로 10.0% 늘었다.
신경인성 방광은 신경 및 근골격계 손상 혹은 기능이상으로 배뇨와 관련된 방광이나 요도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병한다. 요폐, 요의소실, 진성요실금, 빈뇨, 야간뇨, 불수의적 배뇨근 수축으로 인한 절박뇨 및 절박성 요실금, 다량의 잔뇨나 요폐로 인한 상부요로 기능저하, 요로감염증으로 인한 패혈증 등이 증상으로 나타난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방광요관역류증, 신부전, 대인기피증, 우울증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치료법은 청결 간헐적도뇨법, 치골상부 요도카테타삽입술, 전기자극, 신경조정요법, 방광내 약물 및 보톡스 주입술, 인공요도삽입술 등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