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진료 논란이 끊이질 않는 갑상선암은 완치율이 90% 이상으로 높아 ‘착한 암’으로 불리지만 유독 남성에선 예후가 좋지 않아 주의해야 한다. 남성은 여성보다 발생률의 4분의 1 수준으로 낮은 대신 신체 구조상 진단이 늦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갑상선은 목 한가운데에서 앞으로 튀어나온 물렁뼈(갑상연골)의 아래쪽 기도 앞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기관이다. 신체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선호르몬을 생산 및 저장했다가 필요한 기관에 보낸다. 갑상선호르몬은 체온을 유지하며, 신생아의 뇌와 뼈 성장·발달에 도움을 준다.
이 부위에 생기는 갑상선암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점차 쉰목소리, 부기, 통증,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고 목에 혹이 만져지는 게 특징이다.
흔히 여성의 발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남성 환자도 2010년 20만8000여명에서 2014년 50만명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더욱이 남성 갑상선암은 여성보다 예후가 나쁜 편이다. 고경수 인제대 상계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남성은 여성보다 갑상선 주변 목젖이 상대적으로 커 암 전단계인 갑상선결절이 5㎝ 이상 자란 뒤에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암이 상당히 진행되거나, 다른 조직에 침투한 뒤에야 진단하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여성에서 발생률이 높다는 편견 탓에 정기검진을 잘 받지 않는 것도 남성 갑상선암 진단이 늦어지는 이유다.
남성은 악성인 미분화암의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갑상선암은 유두암, 여포암, 미분화암 등으로 나뉜다. 유두암은 가장 흔한 형태로 전체의 90%를 차지하며 30대 전후 젊은 여성에서 자주 발견된다. 악성도가 낮고 성장 속도가 느려 10년생존율이 90~98%이다.
전체 갑상선암의 10%를 차지하는 여포암은 40세 이상 중년여성에 잘 발생한다. 혈관을 따라 뼈·간·폐 등에 전이될 수 있지만 10년생존율은 70~90%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반면 미분화암(역형성암)은 65세 이상에서 잘 발생하고 남녀 성비가 1.3대 1로 남자가 약간 많다. 림프절·원격 전이 속도가 빨라 진단 당시엔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평균 6개월 이내에 사망할 수 있다.
갑상선암은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방사선 다량 노출, 유전적 요인, 비만 등이 위험인자로 꼽힌다. 박원서 경희대병원 외과 교수는 “머리나 목 부위에 방사선치료를 받았거나, 가족 중 갑상선암 환자가 있거나, 쉰 목소리가 나거나, 목젖 주변에 림프절이 만져진다면 정밀검사를 받는 게 좋다”며 “먼저 초음파검사를 실시해 크기가 크거나 악성이 의심되는 결절이 발견되면 세침흡인세포검사로 갑상선암을 최종 진단한다”고 말했다. 세침흡인세포검사는 가느다란 주사기바늘로 갑상선결절 세포를 뽑아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갑상선결절 크기가 0.5㎝ 미만이거나, 갑상선 밖 침범 또는 림프절 전이가 없거나, 가족력 등 위험인자가 없다면 바로 수술하지 않고 정기적인 초음파검사로 추적·관찰에 들어간다.
갑상선암은 나비 날개처럼 양쪽으로 펼쳐진 갑상선의 양쪽을 모두 절제하는 전절제수술법이 표준치료다. 겨드랑이 혹은 가슴 부근을 0.5~1㎝ 절개하고 복강경을 삽입해 암조직을 제거한다. 최근 도입된 로봇 갑상선절제술은 양측 겨드랑이와 유륜에 4개의 작은 절개창을 내 밖에서 흉터를 최소화한다. 입술과 아래 잇몸 사이의 점막에 3개의 구멍을 뚫고 하는 경구강 로봇수술법도 개발됐다.
종양 크기가 1cm 이하로 작고, 결절이 한쪽에만 있으면 갑상선 한쪽만 떼어내는 반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의료진은 재발 위험 탓에 전절제술을 선호한다. 국내 갑상선암 수술 중 반절제술 비율은 30%에 불과하지만 일본은 70%에 달하는 게 차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