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지원하는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의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유전체-임상정보 통합 DB기반 사업화모델 개발’ 과제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병원 측은 향후 5년간 50여억원을 지원받아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유전체와 임상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DB)기반 사업화모델 개발에 나선다. 이세훈 삼성서울병원은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연구 총괄책임을 맡는다.
면역항암제는 이론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면역체계 기억기능을 통해 효과가 장기간 지속된다. 하지만 치료효과를 장담하기 어렵고 부작용 발생위험도 존재해 주류 치료법으로 자리잡지 못했다. 최근에야 전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암종에서 암 면역체계의 다양한 경로를 밝히고 면역항암제의 치료반응률을 높이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비소세포폐암과 흑색종을 적응증으로 면역항암제가 출시돼 환자 치료에 쓰이고 있다. 하지만 비소세포폐암의 경우 20~30% 환자만이 면역항암제(PD-1치료제)에 반응을 보이고, 전체 환자의 5~10%는 치료가 필요함에도 예측모델에서 벗어나 치료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 교수팀은 PD-1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군에서 면역력을 활성화해 직접 항암효과를 유도하거나, PD-1치료제에 반응하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는 폐암 환자의 유전체데이터를 생산하고 임상·유전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유전자 발현기반의 치료 예측 또는 신규 암 항원 기반의 치료예측 알고리즘, 폐암 DNA백신 항암제와 자연살해세포치료제 관련 연구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면역항암제는 새로운 치료법을 기다리는 환자에게 희망이 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로 면역항암제의 가능성을 구체화해 암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