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는 진단까지 2년, 강직척추염 환자는 3년 이상 소요돼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류마티스학회(이사장 최정윤)는 12일 오전 11시 서울 해밀톤호텔 코스모스홀에서 ‘제7회 골드링캠페인’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국 19개 대학병원 류마티스내과에 내원하는 환자 11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진단지연 실태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류마티스관절염은 인체 내 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막(활막)에 만성염증이 생기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발병 1~2년 이내에 대부분의 관절조직이 파괴되므로 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조기에 진단 및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연구결과 국내 류마티스질환은 진단이 여전히 지연되고 있으며, 환자는 류마티스내과 방문 전 정형외과·내과·한의원 등을 전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환자의 대처법으로는 ‘파스나 진통제 사용(33.2%)’, ‘침이나 뜸과 같은 물리치료(26.4%)’ 순으로 많았다.
환자 10명 중 8명(83.3%)은 류마티스내과를 방문하기 전 다른 병원이나 진료과를 방문했다. 주로 방문한 의약기관은 정형외과(39.6%), 내과(14.4%), 한의원(12.1%) 순으로 나타났다. 42.6%가 다니던 병원의 의사의 권유로, 19.3%는 지인의 권유로 류마티스내과를 찾았다.
환자들은 자신의 병명을 아는 데까지는 평균 23.27개월이 소요됐다. 환자의 연령대가 높아할수록 자신의 정확한 병명을 아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진단에 3년 이상 걸린 환자의 대부분이 50세 이상 장년층이었다.
30대 젊은 남성에서 발현율이 높은 강직척추염은 류마티스관절염보다 더 진단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질환은 관절염의 한 형태로 등과 허리뼈에 염증을 일으킨다.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 시작되고 염증이 허리, 가슴, 등, 목까지 염증과 강직이 진행돼 모든 척추가 대나무처럼 굳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번 조사결과 환자의 52.8%가 40세 이하였으며, 병명을 알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39.9개월로 류마티스관절염 23.27개월, 전체 질환 평균인 28.67개월 보다 훨씬 긴 특징을 보였다. 환자 10명 중 8명(80.7%)이 다른 병원이나 진료과에 내원한 경험이 있으며,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다른 병원이나 진료과에 내원한 경험이 높은 양상은 류마티스관절염과 다르지 않았다. 환자들이 치료나 상담을 받은 곳은 정형외과(44.2%), 한의원(13%), 척추관절병원(9.6%) 순으로 나타났다.
진단까지 3년 이상 걸린 환자에서 40세 이하의 젊은 환자가 약 절반(49.3%)에 가까웠다. 방문했던 의료기관은 정형외과(37.4%), 한의원(16.8%), 척추관절 병원(11.2%)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확인 된 바에 의하면 전체 환자 10명 중 2명 미만(18.8%)이 다른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바로 류마티스내과를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양상은 질환의 종류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문가들은 질환 증상에 대한 인식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최정윤 대한류마티스학회 이사장(대구가톨릭대병원)은 “환자들이 초기 통증을 단순하게 여겨 파스나 진통제로 잘못 대처하거나 근본적인 치료가 아닌 다른 대안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도해보면서 진단이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진단이 지연되어 치료가 늦어지면 관절이 손상될 수 있다. 6주 이상 손마디나 발가락마디에 통증이 지속될 경우, 관절이 아픈데 염증수치가 계속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류마티스내과로 바로 내원해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강직척추염 환자의 경우 발병 연령이 상대적으로 낮다 보니, 진단에 소요되는 기간이 다른 류마티스 질환보다 평균 1년이 더 소요되었다. 다른 질환에 비해 통증을 그냥 참는 비율이 높았는데, 그만큼 대처방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이라며 “허리 통증이 주로 아침에 심하고 운동이나 활동으로 감소하거나, 자다가 허리가 아파 깨는 경험이 있었다면 강직척추염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명수 홍보이사(원광대병원)는 “대한류마티스학회는 골드링캠페인을 통해 환자들로 하여금 류마티스관절염의 주요 증상에 대한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국 단위의 건강강좌는 물론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질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캠페인 활동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들이 조기에 빨리 적절한 치료를 받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돕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