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개구에서 15개구로 확대 … 지난 3월까지 중증응급환자 112명 이용
서울대병원은 서울특별시와 함께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를 확대한다고 29일 밝혔다. 두 기관은 중증응급환자가 치료를 위해 다른 병원으로 이송될 때 특수구급차에서 의료진의 집중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는 이동 중 상태 악화가 우려되는 중증응급환자 이송에 적합한 장비를 갖춘 중환자전용 대형 구급차(Mobile Intensive Care Unit)와 의료진이 전문 치료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지난 3월까지 112명의 중증응급환자가 이용했다.
특수구급차를 이용하는 중증응급환자들이 많아지자 서울시와 서울대병원은 최근 중중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를 기존 서울 시내 9개 구에서 15개구로 확대했다. 9개 의료기관에도 추가로 서비스를 제공키로 결정했다.
서비스 운영은 환자 이송을 요청하는 병원이 서울대병원 중증응급환자 이송팀에 의뢰하면 서울대병원에 대기 중인 구급차와 의료진을 15개 자치구 어느 병원에든 24시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서울시와 서울대병원은 이번 서비스 확대와 관련해 지난 27일 서울시청에서 24개 응급의료기관과 중증응급환자 병원 간 이송 참여 협약식도 가졌다.
이번에 추가된 9개 응급의료기관은 건국대병원(광진구), 경희대병원(동대문구), 고려대 안암병원(성북구), 서울의료원(중랑구), 강동성심병원(강동구), 서울아산병원(강동구), 중앙보훈병원(강동구), 을지병원(노원구), 한양대병원(성동구)이다.
해외 연구에 따르면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간 이송 시 인공호흡기 착용 환자, 이송 전 생체징후가 불안했던 환자, 이송시간이 길었던 환자의 경우 등에서 이송 도중 임상적인 위기 상황이 더 많이 발생했다.
국내 환자의 병원 간 이송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이송 중 부적절한 처치가 이뤄졌거나 구급차 동승인력이 없는 경우, 적정한 자격을 갖춘 응급의료인력이 동승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경원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가 중증환자의 안전한 이송으로 생존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더 많은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참여 병원을 확대하는 데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