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식품
중국인 최초 과학 노벨상 안긴 ‘개똥쑥’ … 말라리아치료 특효약
  • 정종우 기자
  • 등록 2015-10-12 09:42:57
  • 수정 2020-09-13 20:40:36
기사수정
  • 기존 항암제보다 효과 1200배 높다 소문 … 상용화까지 연구단계 많이 남아
한방에서는 예부터 개똥쑥을 말라리아치료제로 이용해왔으며, 동의보감·향악집성방 등 약학고서에서는 효능이 적혀져 있다.지난 5일 스웨덴 노벨위원회는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투유유(屠呦呦, Tu Youyou) 중국 중의학연구원 교수(여·84)를 선정했다. 말라리아 치료제 ‘아르테미니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한 것이다. 그는 1976년 당시 중국 공산당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의 지시로 관련 연구에 참가해 1971년 신약을 개발했다. 중국 고전약학서 ‘주후비급방’에 기록된 ‘개똥쑥 한 웅큼을 2승(升·ℓ)의 물에 넣고 끊여 즙을 내어 마시라’는 구절을 보고 영감을 얻어 관련 치료제를 만들었다.

노벨상 수상으로 인해 말라리아 치료제에 쓰인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이 주목받고 있다. 개똥숙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참고로 쑥속은 북반구에 약 400여종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약 38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똥쑥은 국내에선 잔잎쑥 또는 개땅쑥으로 불린다. 손으로 뜯어 비비면 개똥과 비슷한 냄새가 풍겨 이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계피향과 유사한 향기가 나 지방에 따라 ‘계피쑥’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주로 분포한다.

개똥쑥은 길가의 황무지 또는 강가에서 흔하게 무리지어 자란다. 과거엔 한반도 어디서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뿌리가 겨울에도 살아있는 다른 쑥과 달리 1년초로서 씨앗으로 번식하는 특징 때문에 환경파괴 및 농약살포 등이 심해진 1970~1980년대 부터 점차 개체 수가 줄었다.

개똥쑥은 쑥과는 전혀 다른 성질과 약효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하는 쑥은 맛이 약간 씁쓸하지만 개똥쑥은 쓴맛이 더 강하다. 개똥쑥의 한약이름은 황화호(黃花蒿)다.

키는 일반적으로 1.5m까지 자라지만 토질이 좋고 영양분이 풍부한 토질에서는 그 이상 자라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직립하며 표면에 얕은 세로홈이 있다. 날씨가 추워지면 전체적으로 황색으로 색이 변한다. 당근이나 코스모스처럼 잎이 잘게 갈라져 봄에 개똥쑥을 보면 당근잎과 비슷하게 생겼다.

농촌진흥청은 “개똥쑥의 하부 잎은 4~5개로 갈라져 있다”며 “개똥쑥의 수확시기는 9월 초로 소비자는 약효 성분이 적은 줄기보다 잎 또는 꽃봉오리 부위를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2008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개똥쑥에 함유된 항암 성분이 기존 항암제보다 약 1200배 높은 항암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 조사결과가 국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전국적으로 개똥쑥 채취 열풍이 일어나기도 했다. 한때 많은 농가가 신소득작물로 재배할 만큼 각광받기도 했다. 하지만 워싱턴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재인용한 논문도 거의 찾아볼 수 없고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신이 각종 암에 효과적이라는 사실만 논문으로 발표되고 있어 연구에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 투 교수의 항암 관련 연구도 세포실험적 연구로 상용화하기엔 아직 많은 단계가 남아있다.

이정훈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박사는 “워싱턴대 연구는 초기 단계로 개똥쑥의 항암 효과는 부풀려진 측면이 있지만 개똥쑥은 먹어도 문제가 생기는 식물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방에서는 개똥쑥을 발열감기, 소아 열성경련, 소화불량, 이질 등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개똥쑥의 약효는 인진쑥과 대부분 일치해 소음인 체질 중 맥이 강하고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개똥쑥은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소화력이 약하고 식욕이 떨어진 사람이나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암환자 가운데 대변 양상이 설사에 가깝고 체중이 점차 감소하는 상황에 있는 사람들은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개똥쑥은 독성이 있는 돼지풀과 생김새가 비슷해 채취시 주의가 필요하다. 돼지풀을 개똥쑥으로 오인해 먹을 경우 복통을 일으킬 수 있다. 돼지풀은 잎에 연한 하얀털이 있어 개똥숙보다 전체적으로 하얗게 보인다. 무엇보다 냄새가 전혀 없다는 게 가장 큰 차이다.

개똥숙은 가을에 줄기와 잎을 베어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집에서 쉽게 먹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차처럼 끓여서 복용하거나 티백에 넣어 우려먹을 수 있다. 한번에 4~12g까지 달여 마신다.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할 때는 즙이나 가루로 바르면 효과적이다. 속이 찬 사람이나 변이 묽은 사람들은 전문가와 상담한 뒤 복용하는 게 좋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