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서울병원 종양혈액내과 연구팀이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한다고 11일 알려왔다.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보건복지부 산하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로부터 자가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와 신규 면역항암제를 함께 사용해 1차 이상의 표준 항암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췌장암을 치료하는 중위험 임상연구과제에 선정됐다.
1차 이상의 표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에 암 항원을 인식시키고, 면역관문억제제를 병용 투여하여 항암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키고자 하는 연구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종양혈액내과(책임 연구자: 원종호, 참여 연구자: 이남수, 이민영, 김경하, 윤석윤, 정선영)와 세포처리시설(파미셀)이 함께 임상연구를 진행하며, 4월부터 환자등록을 시작할 예정이다.
책임 연구자인 원종호 종양혈액내과 교수는 “평균 생존 기간이 6개월 미만인 췌장암 환자의 암 진행을 막거나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연구를 잘 진행해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여자 복강경 간절제술을 시행하고 있는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유태석, 조원태 외과 교수 (왼쪽부터)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은 지난 1월 25일 간문맥과 간담관에 변이가 있는 공여자(기증자)를 대상으로 고난도 생체 복강경 간절제술에 성공했다. 이번 수술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복강경수술로 이뤄졌다
지난해 7월부터 23살 A씨는 간경화로 인한 전신 부종과 연부조직 감염, 위장관 출혈로 한림대동탄성심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이미 심각한 간기능 저하로 인해 상태가 점점 악화됐고 유일한 치료방법은 간 이식뿐이었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A씨의 오빠인 29살 B씨는 간 기증을 결정했고 1월 25일 간 이식수술이 이뤄졌다.
조원태.이정민.유태석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외과 교수는 공여자에게 복강경 간절제술을 할 예정이었다. 복강경 간절제술은 공여자의 복부에 25~30 cm 이상의 큰 흉터를 남기는 개복수술과 비교해 1 cm가량의 작은 흉터만 남기기 때문에 수혜자와 공여자의 심적 부담을 줄여준다.
또 간 적출을 위해 절개하는 하복부의 흉터도 속옷에 가려지는 위치여서 미용적인 효과도 크다. 이외에도 개복수술과 비교해 주변 조직의 손상이 적고 흉터 및 통증 감소로 일상생활이 조기에 가능하다.
그런데 검사결과 B씨는 간과 연결된 혈관인 간문맥과 간담관에 심한 변이가 있었다. 간이식 수술은 담도와 혈관 등을 정밀하게 박리해야 이식 후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해부학적 변이가 있는 공여자는 출혈 위험이 높아 개복수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간이식팀은 수많은 간이식 수술 경험과 높은 숙련도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복강경수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간이식 팀은 A씨의 복부에 1 cm 가량의 구멍 4개를 뚫어 복강경기구를 삽입해 간 우엽을 절제했다. 먼저 형광염료를 몸에 주입하는 ‘ICG(Indocyanine Green) 형광검사’를 통해 간담관의 변이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한 뒤 박리 및 결찰을 했다.
변이로 인해 절제 부위가 모호했던 간문맥의 경우 간의 좀 더 깊은 부분까지 개별 박리 후 확인하는 작업을 수차례 반복했다. 이처럼 조심스럽게 절제한 간은 1 kg 가량의 큰 크기였고, 하복부에 팬티라인을 추가로 절개해 간을 몸 밖으로 적출했다.
이후 조원태 교수는 적출한 간을 신속하게 여동생인 B씨에게 이식했다. 간을 기증한 A씨는 수술 후 합병증 없이 7일 만에 퇴원했고, A씨의 여동생도 빠르게 회복해 지난 2월 25일에 퇴원했다.
유태석 교수는 “이번 생체 간이식 수술은 혈관과 담도 구조에 변화가 있는 공여자를 대상으로 이뤄진 고난도 복강경 수술로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의 뛰어난 이식수술 술기를 보여준 사례”라며 또한 “이번 수술은 타인의 혈액이나 혈액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무수혈 수술로 이뤄졌는데, 간이식팀의 정교한 술기로 출혈을 최소화하며 빠른 시간 안에 시행됐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조원태 교수는 “간을 이식받은 환자의 혈관과 담도의 문합부위가 누출 없이 정교하게 연결됐으며 추가 검사에서도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번 고난도 간이식 수술과 같이 이식수술의 적응증을 넓히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이식을 기다리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하욱 부천세종병원 과장(심장내과)이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을 하는 모습
부천세종병원이 국내 종합병원 중 최초로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에 성공했다. 지난해 12월 말 중증 대동맥판막 협착 및 승모판막 협착에 의한 심부전 초고령 환자 A씨(여·90)에 대한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TAVR)과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TMVR)을 시행했다. 시술은 박하욱 과장(심장내과)이 담당했다.
A씨는 시술 후 약물치료 및 심장재활치료 등 과정을 거쳐 건강을 회복해 최근 무사히 퇴원했다.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Transcatheter Mitral Valve Replacement, TMVR)은 좌심방, 좌심실 사이 승모판막의 협착 또는 역류증이 있어 새로운 승모판막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가슴을 여는 개흉수술 대신 대퇴정맥을 통해 심장의 우심방으로 접근, 심방중격(우심방·좌심방 사이의 벽)에 구멍을 내고 여기를 통해 인공판막을 승모판에 삽입하는 시술이다. 개흉 없이 피부를 통해 승모판막을 삽입하기 때문에 출혈량이 거의 없고, 개흉수술보다 수술 이후 회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미주와 유럽 등 의료기관에서는 많이 시행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지난 2016년부터 일부 서울 소재 상급 대학병원에서만 시행하고 있다. 이번 부천세종병원의 시술 성공은 이들 상급 대학병원을 제외한 국내 종합병원 중 최초다.
과거 승모판막 질환에 대해 개흉수술로 승모판막 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조직 판막을 이용해 수술받은 환자는 10~15년 후 판막이 다시 좁아지거나 심한 역류가 생겨 다시 승모판막 치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문제는 고령 환자 등의 경우 개흉술에 대한 위험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박하욱 과장은 “최근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과거 수술적 판막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이 수술판막의 노후로 인해 판막질환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재수술 위험도를 감수하며 다시 수술을 받거나 약물로 증상 개선을 기대해 보는 것 이외에 마땅한 치료가 없었다”며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은 외과적 수술 위험 부담으로 치료를 포기하고 결국 사망이 이르는 많은 고령 환자에게 비교적 안전한 시술로 건강을 회복하게 하는 치료법”이라고 설명했다.
박하욱 과장은 “국내 종합병원 중 처음으로 이번 시술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게 노력해준 부천세종병원의 모든 의료진에게 감사하다”며 “무엇보다 포기하지 않고 마침내 회복해준 환자분과 아낌없는 지지를 보내주신 보호자 분에게도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