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질환(요추간판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허리병은 대부분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생긴다. 다만 유전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어 가족 중에 척추질환을 갖고 있다면 생활습관 개선 등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캐나다 앨버타대 연구팀에 따르면 평생 허리를 사용한 강도가 서로 크게 다른 115쌍의 남자 일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하부 요추 디스크의 퇴행에 대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 허리를 많이 쓰는 정도와 나이를 합친 것은 11% 정도 기여하는 것에 비해 유전적 요인의 기여도는 무려 43%에 달한다고 밝혔다. 또 일본의 한 연구팀은 허리디스크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발견하기도 했다.
송금영 강남나누리병원 척추센터 원장은 “허리디스크 질환과 같은 허리병은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할 수 있는데, 유전병과 같이 직접적으로 병을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고 디스크가 상하기 쉬운 체질이나 척추신경관의 넓이, 척추를 뒤에서 지지해주는 후관절의 모양 등이 유전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말했다. 즉 “척추뼈나 근육, 인대, 디스크 등이 약한 체질을 타고 났다면 척추병에 걸릴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높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송 원장은 척추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부자지간, 자매지간, 형제지간 등 혈연관계에 있는 환자들 사이에서 비슷한 허리병을 다수 관찰했다.
타고난 체형도 허리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약 선천적으로 마른 체형을 가졌다면 상대적으로 근육량이 적어 척추가 하중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비만 체형도 마찬가지다. 비만 체형은 적은 근육량에 비해 체중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척추에 지속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져 퇴행성 변화를 앞당길 수 있다.
유전적인 요인만큼이나 중요한 게 환경적인 요인이다. 어렸을 때부터 바닥생활을 해왔다면 성인이 돼서도 습관적으로 바닥생활을 할 수 있다. 식탁이나 소파가 아닌 바닥에 앉아 있을 때 허리가 구부정하게 되면서 척추와 디스크에 많은 압력이 가해진다.
야외활동보다 실내생활 위주의 습관도 주의해야 한다. 실내에서는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근육과 인대 등이 경직되고 근력이 약화된다. 스마트폰이나 TV를 장시간 시청하는 것도 허리 건강을 헤치는 생활습관이다. 허리건강에서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게 가장 좋지 않다.
송금영 원장은 “유전적으로 허리병에 취약한 체질을 바꿀 수는 없지만 생활습관은 자신의 노력으로 충분히 바꿀 수 있다”며 “가족 중에 허리질환을 앓고 있거나 치료를 받은 사람이 있다면 먼저 생활습관을 바꾸고 꾸준한 운동을 통해서 질환을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허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앉는 것은 피하고 의자 사용을 생활화하는 게 바람직하다. 습관적으로 1시간마다 자리에서 일어나 10분 정도 몸을 움직이는 것이 좋다. 이 때 굳어 있는 근육과 인대를 풀어줄 수 있는 스트레칭을 병행하면 더욱 좋다. 너무 실내에서만 생활하지 말고 틈틈이 야외로 나가 땀이 날 정도로 걷는 것만으로도 허리병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