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화장실에서 피를 보았다면? 직장암 초기 의심
  • 김광학 기자
  • 등록 2021-12-22 10:07:09
  • 수정 2021-12-22 10:07:33
기사수정
  • 음주 흡연 멀리하고 규칙적인 운동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

통증 없는 직장암, 빠른 검사로 조기 발견이 중요 


결장암과 함께 대장암의 일종인 직장암은 항문에 인접해 있는 직장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조기 발견이 어려운 대표적인 암 중에 하나가 직장암인데 그 이유는 발병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장암을 포함한 대장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대장내시경이 필수적이다. 암이 자라면서 직장암 초기를 지나면 자각증상이 나타나는데 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대표적이다. 또한 변을 참기가 힘들거나 대변을 본 다음에도 잔변감을 반복적으로 느끼게 될 수도 있고 추가로 식욕부진과 이에 따른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이후에 암이 더 진행하게 되면 통증을 동반하게 되는데 암이 직장 주변의 방광, 질(여성의 경우) 등의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여 아랫배 통증이나 질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더욱 조심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직장암이 발생하는데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들로 나눌 수 있다. 만약 부모 중에 대장암 환자가 있으면 그 자손에서는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에 관한 유전질환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가족성샘종폴립증으로 대장 및 직장에 수백 개에서 수만 개의 선종성 용종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선종성 용종은 5~10년이 지나면 대장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다발성 선종증 발생 시 대장암의 예방적 차원에서 대장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둘째는 린치 증후군인데 이는 가족성샘종폴립증만큼 수많은 용종이 생기지는 않지만 대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장기에 암을 발생시키는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다. 


이외에 환경적 요인으로는 흔히 알려진 대로 평소 운동을 멀리하고 과다한 육류 섭취와 함께 굽거나 튀긴 음식을 즐긴다면 직장암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염증성 장 질환을 앓고 있거나 대장 용종, 50세 이상의 연령 등도 직장암 발생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로봇수술을 통해 정교한 수술 가능, 삶의 질 보장


직장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장수지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데 이는 항문을 통해 손가락을 직장 안으로 삽입하여 직장 내 만져지는 혹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후 내시경 검사 및 조직검사를 통해 암세포를 확인하여 확진하게 된다.


직장암의 치료법으로는 외과적으로 암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이 대표적이다. 특히, 직장암 수술은 어려운 수술 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직장 주위에는 전립선, 방광, 자궁, 질 등의 복잡한 장기가 인접해 있고 좁은 골반 내에 위치한 탓에 암 조직은 남기지 않으면서도 자율신경과 괄약근 등 중요한 조직과 장기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수술을 하는 것이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장암 수술 중에 항문을 보존할 수 없는 경우 평생 장루(인공항문)를 달고 생활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술법의 발달로 항문을 최대한 보존하여 치료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도 고려한 수술이 시행되고 있는 추세다. 이와 관련하여 로봇수술은 그중 가장 주목받는 수술법이다. 또한 수술 전후 항암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웅배 고려대안산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 “암이 항문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직장암 수술은 항문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관건이다”며 “로봇수술은 집도의가 조종하는 로봇 팔이 좁은 공간에서도 손 떨림이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확대경을 통한 수술 시야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에 좀 더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라고 전했다.


식단 조절과 규칙적인 운동이 직장암 예방


평소에 육류 섭취를 줄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을 유지한다면 직장암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음주와 흡연은 가능한 멀리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50세가 넘으면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좋고 가족력이 있는 고위험군의 경우 더 이른 시기에 전문의와 상담 후에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지웅배 고려대안산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 (고려대안산병원 제공)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