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에서 일하는 60대 박 씨는 최근 오른쪽 엉치 쪽에서 통증을 느끼기 시작했다. 통증은 오래 서 있거나 자세를 바꿀 때 갑자기 발생했고, 가만히 누워 있으면 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약국에서 산 진통제와 근이완제를 먹었으나 호전되질 않았고, 통증은 점점 일상생활에까지 지장을 줬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집 앞 병원에서 엑스레이까지 찍어보았으나 뼈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하니 더욱 답답했을 터, 결국 대학병원 척추센터(정형외과)를 찾은 박 씨는 척추 불안정성과 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박 씨의 사례처럼 중장년층에서 엉치 부위 통증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고관절이나 골반 문제로 여겨 정형외과를 찾곤 한다. 그러나 실제로 고관절이나 골반 문제가 아니라, 척추의 불안정성에 의한 통증인 경우도 흔하다. 석상윤 대전을지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허리를 굽히거나 펴는 작업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서 하부요추의 불안정성에 의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척추의 불안정성’은 신경을 보호하는 척추에 있는 디스크나 후관절이 퇴화하면서 척추가 앞이나 뒤 혹은 옆으로 움직인 것을 의미한다. 척추를 쌓아 올린 타이어라고 생각하면, 신경들은 타이어 가운데 구멍으로 지나는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쌓여 있는 타이어들이 앞뒤로 움직인다면, 안에 있는 신경들 또한 이리저리 밀고 당겨지면서 자극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해 몸의 중심추인 척추가 안정적이지 못해 신경 자극에 의한 신경통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석상윤 교수는 “실제로 MRI 촬영에서 인대나 관절에 뼈가 자라 신경을 누르고 있는 척추관협착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지만, 검사 상 심하지 않은 협착증이라도 척추관이 많이 움직이면 신경 자극이 발생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엉덩이 위쪽 허리의 양쪽 부위, 즉 엉치라고 부르는 부위의 통증이 가장 흔하며, 협착증이 동반된 경우 엉치에서 다리 아래쪽으로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이 동반될 수 있다. 환자들은 주로 가만히 있다가 움직이기 시작할 때 통증을 느끼며,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는 경우 통증이 악화되고, 가만히 누워 있을 때는 통증이 완화된다고 말한다. 불안정성이 심한 환자에서는 수면 중 무의식중에 자세를 변경하다가 엉치 통증이 심해 잠에서 깨기도 한다.
척추 불안정성의 진단은 엑스레이를 통해 △병변이 있는 척추가 정상 척추에 비해 앞뒤로 밀리는 전·후방 전위증이 있는 경우 △디스크 공간에 공기가 보이는 경우 △허리를 굽히는 자세와 펴는 자세에서 디스크 간 각도의 차이가 큰 경우에 진단된다. 더불어 척추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와 신경관 부위 인대의 비대 등으로 척추관 협착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MRI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 주사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상이 호전됐다면 척추 주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통해 증상이 재발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적 치료로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이용한 신경관 감압술, 개방 신경관 감압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때에 따라 불안정성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해 금속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추가적으로 시행하기도 한다. 수술은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자다가 깰 정도로 통증이 큰 경우, 다리 근력이 떨어지거나 마비 증상이 있는 경우에 고려할 수 있다.
석상윤 교수는 “사람마다 성격이 예민한 사람과 둔한 사람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경 또한 사람마다 예민도가 달라 불안정성과 동반된 협착증의 정도와 통증이 비례하진 않는다”며 “결국 모든 환자에서 수술이 반드시 필요한 것도, 혹은 수술이 모든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것도 아니므로 전문의와의 긴밀한 상담 후 수술을 결정할 것을 권한다”고 조언한다.
어떤 움직임을 시작할 때 발생하는 엉치 통증은 척추에서 기인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경우 척추센터 혹은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고,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