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 건기, 러닝을 할 때 편한 운동화만큼 특별히 신경쓰는 ‘준비물’이 있다. 바로 이어폰이다. 특별한 동작 변화 없이 정해진 시간이나 거리를 채워야 하다 보니, 운동에 재미를 더하기 위해 음악 영상 등을 듣거나 보면서 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움직임이 자유로운 무선 이어폰 사용이 늘면서, 이어폰을 귀에 꽂고 뛰는 이들이 더욱 많아졌다.
그러나 운동 중 이어폰 사용은 귀 건강에 ‘독(毒)’이 될 수 있다. 운동할 때 이어폰을 사용하면, 귀 습도·온도가 높아져 ‘외이도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대학생 A씨는 얼마 전부터 귀가 먹먹하고 가렵더니 지난 주 귀에서 고름까지 흘러 가까운 병원을 찾아 ‘외이도염’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다. 코로나19로 외출이 줄어들면서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는 시간이 늘면서 무선 이어폰을 장시간 이용하다 귀에서 이상 반응이 온 것이다. A씨는 선이 없는 편리함과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공부, 운동, 대중교통 이동뿐만 아니라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무선 이어폰을 귀에 꼽고 잠들어 버린 일까지 생겨 이제부터 무선 이어폰 사용을 자제하기로 마음먹었다.
외이도는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는 통로를 말한다. 외부 세균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기 때문에 자체 방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귀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어 수단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균형이 깨지면서 세균과 진균 등에 의해 감염이 되는 경우를 외이도염이라고 한다.
보통 여름철 덥고 습한 기후의 특성과 휴가철 잦은 물놀이로 외이도염이 흔하게 나타난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5년 진료 인원에 따르면 총 158만 명 중 가장 더운 8월에(약 28만 명) 가장 적었던 2월(약 16만 명)보다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장시간 이어폰이나 보청기를 사용하거나 귀지 이상, 외이도 이물, 피부질환, 당뇨병, 면역저하 등에 의한 외이도염의 비중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외이도염의 경우 초기에는 A씨처럼 큰 이상이 관찰되지 않다가 귀가 가렵고 먹먹한 느낌이 나타나게 된다. 이후 급성 염증기로 진행되면 통증과 함께 심한 경우 화농성, 삼출성 고름이 발생하고 4주 이상 염증이 지속되면 만성 염증기로 외이도 피부가 두꺼워져 내경이 좁아지게 된다.
외이도를 관찰하고 이경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청력이 저하되는 경우 청각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염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염증으로 인한 통증 조절 및 외이도 청결을 위한 약물 치료를 할 수 있다.
노영진 대동병원 귀·코·목센터 과장(이비인후과 전문의)는 “덥고 습한 여름철 무선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귓속이 습해져 세균이 번식하기 적합한 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이어폰의 장시간 사용을 삼가하고 주기적으로 귓속을 환기시켜주어야 한다”며, “최근 방수가 되는 무선 이어폰까지 등장하면서 샤워 후나 운동 시에도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귀가 젖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귀에 닿는 이어 팁은 수시로 소독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노 과장은 “외이도염은 비교적 쉽게 치료되는 질환이지만 방치할 경우에는 만성이 될 수 있으므로 초기 증상 때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외이도염 예방을 위해서는 샤워, 물놀이 등 평소 귓속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하며 물이 들어갔다면 귀를 옆으로 기울여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면봉 등 딱딱한 물질을 이용해 닦거나 파는 등의 행동은 외이도를 자극하므로 삼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