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군발두통 산소치료의 효능 아시아인 대상 최초 입증
-
베링거인겔하임 개발 4세대 EGFR 폐암 표적치료제 ‘BI-4732’ 전임상시험서 효과 확인
-
미숙아 기관지폐이형성증 중증도에 따라 입원기간 달라져
-
백선하·박원철 서울대 연구팀, 스트레인 센서 기술로 맞춤형 건강관리 구현
-
김영국 서울대 교수, 시각장애 환자 자살 위험성 약 2.5배 높아
-
엄영섭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국내 최초’ 인공수정체 도수 새 계산법 개발
-
홍지만 아주대 교수팀, 뇌혈관 좁아지는 모야모야병 악화되는 이유 규명
-
국립암센터, 혈관침습 간세포암종에서 '면역항암제'와 '방사선치료 병행요법'의 잠재력 입증
-
재발/불응성 DLBCL에 BKT억제제-레날리도마이드-리툭시맙 병용요법 효과적
-
NK세포치료-세툭시맙 요법, '타그리소' 내성 EGFR 변이 폐암 효과 입증
-
무증상 시기에도 전파되는 CDI, 격리보다 관리 강화가 효과적
-
유방암·흑색종, 항암제 내성 유발 바이오마커 ‘MAP3K3’ 발견
-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으로 2만5000명에게 새 삶
-
장내미생물 종류가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 중증도 가른다
-
아주대병원 박해심·박용환 교수팀, 까다로운 중증 천식 새 생체표지자 ‘Otulin’ 발견
-
서울대병원, 고관절 재골절 위험 예측하는 CT 기반 딥러닝 모델 개발
-
김현구 고려대·최학수 하버드대 교수팀 ‘이중 형광영상을 활용한 폐암 정밀수술법’ 개발
-
서울대병원, 염증인자 리지스틴에 의한 당뇨병 발생 기전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