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메인 컨텐츠 영역

헤드라인 뉴스

  1. SK플라즈마, 튀르키예 적신월사와 혈장분획제제 합작회사 설립

  2. 간세포암 면역항암 치료서 임상적 이상반응 증상은 없되, 영상으로 관찰되면 예후 좋아

  3. ‘프라임 편집기술’ 활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표적항암제 내성 확인

  4. 삼성라이프사이언스 펀드, 이중항체-이중페이로드 ADC 전문기업 中 프론트라인에 투자

  5. 서울성모병원, '아시아 최초' 벨기에 IBA社 차세대 양성자 치료기 ‘Proteus Plus’ 도입

섹션2 바텀 영역

중요뉴스
최신뉴스
  1. SK플라즈마, 튀르키예 적신월사와 혈장분획제제 합작회사 설립

    SK플라즈마가 인도네시아에 이어 튀르키예 정부가 추진하는 혈장분획제제 자급화 국가전략사업의 기술 수출 파트너로 선정됐다. SK플라즈마는 지난 24일(현지시각)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튀르키예 적신월사(Kizilay, 이슬람권 적십자사)와 국가필수의약품 자급화를 위한 혈장분획제제 플랜트 건설 및 합작회사 ’프로투르크(Proturk)’ 설...

  2. 안성준 한양대병원 교수, 대한안과학회 한길학술상 … 20년간 30편 이상의 논문 게재

    안성준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가 지난 11월 인천에서 열린 대한안과학회 제134회 학술대회에서 ‘한길학술상’을 수상했다.한길학술상은 2007년 제정된 이후 안과학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를 매년 1명 선정해 시상하는 권위 있는 학술상으로, 대한안과학회가 최근 수년간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한다.안 교수는 망막 약물 ...

  3. 아주대병원, AI 기반 임상추론 기술로 암병기 예측 정확도 30% 향상

    허재성 아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팀(김선화·박준형 연구원)이 실제 임상에서 생성되는 영상·병리 보고서를 활용, 언어 기반 AI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로 암 병기(AJCC)를 판정하고 종양반응평가(RECIST)에 따른 임상적 판단까지 수행할 수 있는 ‘AI 임상추론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암 환자 4200여 건의 ...

  4. 분당차병원, 유전자·단백질 분석으로 침윤성 간세포암의 면역항암제 내성 원인 규명

    전홍재·김찬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 암센터 종양내과 교수, 이원석 연구교수와 황소현 병리과 교수팀은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영상·유전 정보를 종합 분석해, 면역항암제 병용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침윤성 간암의 특징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서 아테졸리주맙과 베바시주맙 ...

  5. 간세포암 면역항암 치료서 임상적 이상반응 증상은 없되, 영상으로 관찰되면 예후 좋아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간세포암 환자의 1차 면역항암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증상을 느끼지 않더라도 컴퓨터단층촬영(CT)에서 나타나는 경미한 면역관련 변화가 생존기간 및 치료 효과와 연관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그동안 단순한 이상 소견으로 여겨졌던 영상 변화가 실제로는 치료 경과를 예측하는 의미 있는 지표가 될 ...

  6. ‘프라임 편집기술’ 활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표적항암제 내성 확인

    김형범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팀은 프라임 편집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7. 삼성라이프사이언스 펀드, 이중항체-이중페이로드 ADC 전문기업 中 프론트라인에 투자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 출자해 생명과학 분야 신기술 및 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한 삼성라이프사이언스 펀드가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기술 플랫폼과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중국 프론트라인바이오파마(Phrontline Biopharma)에 투자한다고 25일 밝혔다. ADC는 특정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antibody)를 링...

  8. 서울성모병원, '아시아 최초' 벨기에 IBA社 차세대 양성자 치료기 ‘Proteus Plus’ 도입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지난 24일 오후 3시 병원 21층 대회의실에서 양성자 입자 치료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인 IBA(Ion Beam Application)와 전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양성자 치료 시스템 ‘IBA Proteus Plus’ 도입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서울성모병원은 아시아에 현존하는 양성자 기기 가운데 가장 최신 장비를 도...

  9. 드퓨신테스, 무릎 인공관절 수술 로봇 ‘벨리스(VELYS)’ 반치환술 국내 적응증 추가 승인

    글로벌 정형외과 의료기기 기업 드퓨신테스(DePuy Synthes)는 무릎 인공관절 수술로봇 ‘VELYS Robotic-Assisted Solution’(벨리스)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반치환술(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소프트웨어에 대한 허가를 추가로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벨리스는 올해 초 국내 론칭 이후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분야에서 활용되고...

  10. 분당서울대병원, 전립선 종양 평가 가능한 ‘마이크로 초음파’ 국내 최초 도입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는 기존 초음파보다 3배 더 높은 해상도의 실시간 영상을 통해 전립선 종양 평가가 가능한 마이크로 초음파 장비를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 29MHz 마이크로 초음파를 사용하는 이 장비는 전립선과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를 선명히 표시하고 표적 조직검사를 유도한다. 의심 영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

  11. 유유헬스케어, 건기식 생산품목 다변화 위해 강원도 횡성 제2공장 착공 … 175억 투자해 액상 및 연질캡슐 생산

    유유헬스케어가 강원도 횡성군에서 연간 200억 원 규모 생산이 가능한 제2공장 착공을 진행했다. 이번 제2공장 건립은 2020년 준공된 연간 500억 원 규모 1공장 이후 5년 만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건강기능식품 산업 성장에 맞춰 다양한 제형 생산 라인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제2공장은 횡성군 우천면 상하가리 우천일반산업단지 17,922㎡ 부지...

  12. 배우 마동석도 추천하는 복싱, 무리하면 어깨 부상 위험

    지난주 배우 마동석이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한 tvN 예능 프로그램 ‘아이 엠 복서’가 방송되며 화제다. 복싱을 비롯한 다양한 격투기 선수와 인플루언서, 유명 배우까지 100여 명의 참가자가 서바이벌 게임을 벌이며 복싱의 매력을 선보여 케이블 및 종편 채널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 최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복싱에 대...

  13. 강현 중앙대병원 교수, 4년 연속 엘스비어 발표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강현 중앙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스탠퍼드대와 엘스비어가 발표하는 ‘세계 상위 2% 연구자(World’s Top 2% Scientists)’에 2022년 첫 선정 이후 4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이 선정은 Scopus에 등록된 약 6,600만 명 연구자 가운데 논문 수, 인용 수, H-index, 공동저자 보정 인용지수, 저자 기여도 등을 반영한 Composite Citation Index로 상위 2% ...

  14. 스마트폰 인공지능과 대화했더니 ‘뇌혈관 건강’ 이상신호 조기 감지

    머지않아 스마트폰에서 인공지능 모델과 대화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뇌졸중의 건강 이상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여 필요한 조치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서우근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는 지난 14일 열린 ‘IN SILICO에서 환자로’ 심포지엄에서 미래형 건강관리 서비스의 기반 기술을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삼성서울병...

  15. 나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보다 중뇌 흑질에 2~3배 축적 …파킨슨병 발병 위험 높여

    김진수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파킨슨병과 유사한 뇌 손상 및 신경 염증을 현저히 더 유발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24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앞서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뇌에 더 쉽게 축적된다는 사실을 규명한 데 이어, 이번엔 나노플라스틱이 파킨슨병을...

칼럼 +더보기

섹션7 영역

의학건강

정책사회

제약바이오

글로벌뉴스

식품

의료기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