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정책사회
"데이터 복기하며 2차 코로나19 유행 대비" … ’파시스트 히스테릭 보건국가‘ 지양해야
  • 김지예 기자
  • 등록 2020-05-06 19:26:06
  • 수정 2020-05-08 18:14:58
기사수정
  • 병협, ‘KHC코로나19 컨퍼런스’ 개최, 백신개발 ‘VIP 코리아 프로젝트’ 등 소개 … 원격의료 두고 견해 갈려
대한병원협회이 6일 서울시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주최한 ‘2020 KHC코로나19 특별 온라인 컴퍼런스’에서 의료 전문가들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한 의료시스템 재정립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올 가을 코로나19 2차 유행이 예상돼 의료시스템 붕괴를 가정한 대응체계가 마련돼야 하고 감염진료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새롭게 구축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병원협회가 6일 서울시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 5층 백두홀에서 개최한 ‘2020 KHC코로나19 특별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감염병 시대의 뉴노멀: 포스트 코로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대주제로 국내 의료전문가들의 열띤 강연과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오전에 진행된 1부에서는 ‘Post COVID-19 의료시스템을 어떻게 바꿔야 하나’를, 오후 2부에서는 ‘Post COVID-19 의료관련 사회시스템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를 주제로 각각 5명의 연자가 발표했다. 

가장 먼저 ‘코로나19 향후 예측과 감염병 총괄 대책 및 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태 초기 외국인 입국 제한을 확대하자는 이슈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대구·경북에서 1000명이 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한꺼번에 발생해 집에서 대기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사실상 의료시스템이 붕괴됐다”며 ““올 가을 2차 유행파가 커질 것에 대비해 무엇을 잘했고, 못했는지 1판을 복기하고 2판, 3판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5년 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사태가 국민과 정부, 의료계에 각인됐다. 메르스 사태 이후 질병관리본부가 감사도 많이 받고 징계도 받았다”며 “실패하면 안된다는 절박감이 생겼고 현재까지 (코로나19 대응을) 잘하게 된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이어 “6일 생활방역으로 전환했고, 여름이 다가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잘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3학년 등교 등 단계적인 조치가 가능하지만 코로나19가 재유행하면 9월, 10월에 다시 휴교해야 한다”며 “특히 어린 아이나 천식, 당뇨병 등이 있는 고위험군 아이에 대한 특별한 보호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이왕준 명지의료재단 이사장(병협 코로나19비상대응본부 실무단장)은 “질병관리본부가 코로나19를 잘 통제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질본이나 병협 차원에서 선별진료소를 설치해야 한다는 지침이 내려지기도 전에 이미 일선 현장에는 560개 병원에서 선별진료소가 설치됐다”며 “17~18년 전 사스(SARS)를 경험한 나라고 5년 전 메르스를 생생하게 경험한 나라는 대응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고 자평했다. 그는 5년 전 경험을 “사백신이 아니라 생백신을 맞은 것”이라고 비유했다. 

그는 “질본은 방역(정책)을 중심으로 하는 곳이며, 실제 주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서 방역 갈등도 있었다”며 “(사태 초반에는) 권역단위, 지역단위에서 지휘하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했고,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권역별·지역별 감염진료역량을 높일 통합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이사장은 이어 “중동 지역을 제외하고 메르스 환자가 가장 많이 나온 나라가 한국이지만 제대로 된 논문 하나 나오지 않았다”며 “환자 정보와 임상 자료, 샘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서 연구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이번에도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은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지 두달 만인 2월 25일자로 7만명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를 세계보건기구(WHO)와 함께 발표하고 임상데이터도 분석해서 미국의사협회지(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JAMA)에 게재했다”며 “중국에서 코로나19 관련 논문이 800여편 나왔지만 우리는 20여편에 불과하다. 코로나19에 잘 대응하고 있지만 의학적인 근거를 만들어낼 수 있는 데이터를 정리하지 못한 부분은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코로나19 임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병원 차원에서 하기는 힘들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융합학과 교수는 현 시점을 원격의료(telemedicine)의 적기로 판단하고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에서 원격의료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한국에서 극적으로 서비스하게 된 화상진료 앱 ‘메디히어(MEDIHERE)’의 사례를 소개하며, 의료공급자 입장에서도 이익이 크다고 느낄 수 있도록 체계가 만들어진다면 반대의 목소리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이해관계자들이 한명도 반대하지 않을 때 원격의료가 진행될 수 있다”면서 “지금 상황이 이해관계자들의 원격의료 인식이 바뀌는 변곡점에 있다”고 설명했다.
 
박래웅 아주대의료원 의료정보연구센터장은 ‘감염병 시대의 환자 정보관리와 빅데이터 전략’을 소개하며 병원별로 공통된 데이터를 모아서 연구를 진행하는 ‘분산 연구망 및 공통데이터모델(common data model, CDM)’ 도입을 제안했다. 2022년까지 45개 병원이 CDM 데이터망으로 변환할 예정이라며 이를 활용해 실시간 감염병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것이다.
 
2부에서는 의료현장에서 벗어나 보다 포괄적인 사회현상과 K-bio 등 국가의료사업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코로나19사태에 대한 국가의 잘잘못을 복기하고 이를 반영해서 체계화된 보건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쪽으로 귀결됐다.
 
홍준형 서울대(SNU) 국가전략위원회 위원장(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은 코로나19로 국가의 기능도 변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대응하는 과정에서 전시에 준하는 강력한 통제가 실시되면서 권력이 중앙집중이 되며 거대정부를 소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확진자 정보를 공개한 것 등은 구미 국가에서 ‘파시스트 히스테릭 보건국가’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며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교감하며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K-Bio와 관련,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지원단 백신분과장인 성백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가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의 ‘VIP(Vaccine Innovation Project) 코리아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28종 백신의 자급화, 백신 제품 탑10에 국산 백신 진입,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 등을 목표로 2020년 7월부터 10년간 약 2151억원이 투자된다고 설명했다. 지원단은 6월 중 코로나19백신 개발 로드맵을 확정하고 제3차 추경에 반영할 예정이다.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소장(고려대 안암병원 성형외과 교수)은 ‘감염병 시대의 의료윤리와 인권’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정부가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수직적 정보 교류에 비해 정부와 전문가들 사이에 오가는 수평적 정보 교류는 폐쇄적이었고, 편향적인 의견 수렴 성향을 보여 되돌아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패널 발표 후 진행된 토론에서는 원격진료를 두고 열띤 논쟁이 이어졌다. 나군호 연세대 융복합의료기술센터 소장(비뇨기의학과 교수)은 “코로나19로 의료계는 신뢰자본을 구축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금기시됐던 원격진료와 비대면의료 도입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에 안덕선 교수는 “4차산업·일자리 창출 등의 포커스로 원격진료를 바라보는 것은 의료의 공공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의료사고 등 불확실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가 함께 언급돼야 의료계도 원격진료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고 반대의견을 개진했다. 홍준형 교수는 “원격진료는 정부와 의협 누구도 일반적으로 결정해선 안된다”며 “다시 한번 의료계가 갈등을 빚으면 이번 사태로 쌓은 사회적 신뢰를 잃게 될 수 있다”고 중재했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