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성조숙증 5년 새 60% 증가 … 필요하면 성호르몬자극호르몬 억제 약물치료
  • 김지예 기자
  • 등록 2020-03-24 19:04:57
  • 수정 2020-09-11 01:58:01
기사수정
  • 호르몬 분비조절 이상이 원인 … 중추성일 경우 여아는 기저 질환 없이 발생, 남아는 종양 등이 원인
2차 성징이 평균보다 매우 빨리 시작되는 성조숙증을 방치할 경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장 후  키가 작을 확률이 높다.
자녀의 성조숙증으로 고민하는 부모들이 늘어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성조숙증으로 병원을 찾은 소아청소년은 10만8576명으로 2013년 6만7021명 대비 약 60% 이상 증가했다. 최근 저출산 등으로 인해 소아청소년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성조숙증 환자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학부모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빨라진 2차 성징, 성장판 일찍 닫혀 성장 후 키 작을 확률 높아

성조숙증은 ‘사춘기 조숙’으로도 불린다. 2차 성징이 평균보다 매우 빨리 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여자아이는 만 8세 이전에 유방발달이 시작되고, 남자아이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경우에 성조숙증으로 정의한다.

성조숙증인 아이는 성호르몬에 일찍 노출돼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된다. 여자아이는 여성호르몬 분비로 인해 가슴 몽우리가 생기고 자궁이 커지면서 또래보다 일찍 초경을 시작하게 된다. 남자아이는 고환에서 남성호르몬이 분비되면서 고환이 커지고, 음경과 음모가 발달하며 변성기가 찾아오기도 한다. 사춘기에 접어들면 남녀 모두 부신에서 남성호르몬이 분비되는데 머리기름이나 체취, 여드름, 액모 등에서 사춘기 징후가 나타나게 된다.

성조숙증의 가장 큰 문제는 ‘성장장애’다. 사춘기가 빨리 오는 만큼 처음에는 키 성장이 빠르지만, 그대로 방치할 경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인이 됐을 때 남들보다 키가 작을 확률이 높다. 여기에 빠른 신체 변화로 아이에게 정서적인 불안감이 나타날 수 있다.

호르몬 분비조절 이상이 원인 … 성호르몬자극호르몬 작용 억제 치료로 사춘기 지연

성조숙증은 크게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의 호르몬 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중추성 성조숙증’과 난소나 고환, 부신 등 기타 장기에서 성호르몬이 과다분비되는 ‘말초성 성조숙증’으로 구분된다.

중추성 성조숙증은 남아에서 뇌내 종양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어 뇌하수체 자기공명영상(MRI ) 검사가 필요하다. 여아는 특별한 기저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말초성 성조숙증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선의 호르몬 조절 이상이 아닌 난소낭종이나 종물, 고환이나 부신의 종양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성조숙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키·몸무게‧비만도‧2차성징 출현 정도를 확인한다. 영상의학적 검사로 골 연령과 호르몬 농도를 측정해야 한다. 만 6세 이하 아이에서 성조숙증이 진단되는 경우 뇌 MRI를 촬영해 뇌하수체를 비롯해 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성조숙증으로 진단되면 성호르몬자극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4주 또는 12주마다 주사해 사춘기를 지연시키는 약물치료가 시행된다.

이른 2차 성징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약물치료를 하지는 않는다. 김기은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가슴발달은 있으나 성조숙증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성조숙증은 있으나 치료시작 시기가 늦어 치료효과가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비만이나 부당경량아 등의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평가해 꼭 필요할 경우에만 약물치료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비만, 영양불균형이 뼈 연령 높여 … 지속적인 운동, 성장판 자극에 도움

균형잡힌 식사와 올바른 생활습관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은 열량에 비해 영양은 부족하고 포화지방산‧소금‧인공감미료의 함량은 높은 반면 비타민과 무기질이 부족해 소아비만을 유발하며 성장과 뼈 나이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탄산음료, 자극적인 음식, 단 음식을 피하고 채소, 과일, 해조류, 등푸른 생선이 권장된다. 육류를 먹을 때엔 지방보다 살코기를 선택하는 게 좋다. 아침식사를 거르지 말고, 하루 세끼를 규칙적으로 섭취하며, 천천히 꼭꼭 씹어먹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평소 유산소운동이나 유연성운동, 근지구력운동을 하루 30분씩, 1주일에 3회 이상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성장판에 자극을 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는 스트레칭, 줄넘기, 수영, 댄스, 맨손체조, 배구, 농구, 단거리달리기, 탁구, 배드민턴 등이 있다.

김기은 교수는 “일반적으로 여자아이들이 훨씬 성조숙증이 많지만 남자아이들에게도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며 “남자아이의 경우 여자아이에 비해 신체적 특징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성조숙증이 의심되면 가급적 빨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기은 차의과학대 강남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JW신약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