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이상 약물을 복용하는 노인은 사망 위험이 25%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다제약물 복용자의 약물 처방현황과 기저질환 및 예후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장태익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내과 교수)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65세 이상 중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약물처방이 270일 이상이고 입원이 없는 300만7620명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추적한 결과 다제약물군(5개 이상)은 대조군(1~4개)에 비해 입원 및 사망 위험이 각각 18%, 25% 더 높았다. 다제약물군 중에서도 처방약물 개수가 증가할수록 입원·사망 위험이 높았다. 11개 이상 복용군은 2개 이하 복용군보다 입원 및 사망위험이 각각 45%, 54%까지 증가했다.
다제약물군은 46.6%였으며, 대조군은 53.4%였다. 부적절 처방률은 각각 47.0%, 13.8%로 다제약물군이 대조군보다 33.2%p 더 높았다. 부적절 처방 기준은 2015년 업데이트된 ‘Beers Criteria’가 사용됐으며, 대상자가 처방받은 약물에 노인이 피해야 할 약물 또는 특정질환(8개)이 동반된 경우 피해야 할 약물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건보공단은 이러한 다제약물 복용의 부작용을 줄이고자 ‘올바른 약물이용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만성질환 범위와 서비스 대상자를 13개 질환, 3000명으로 대폭 넓히고, 대상자의 사회·경제·임상적 특성을 고려해 우선순위 대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또 약사 등 전문가가 대상자를 방문해 약물 이용 상태를 점검하고, 개선을 위해 3개월 간 상담해주고 있다.
건보공단 강청희 급여상임이사는 “이번 연구로 노인의 빈번한 다제약물 복용은 부적절 약물사용 빈도와 입원 및 사망 위험 을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했다”며 “공단은 전문가가 참여하는 ‘올바른 약물이용지원 시범사업’을 지속 확대해 대상자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