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은 2기 이내에 발견해 표준치료를 받으면 생존율이 90%가 넘을 만큼 치료 성적이 좋지만 뒤늦게 재발할 위험이 높은 편이다. 지난해 발표된 한국유방암학회 통계결과 국내 유방암 재발률은 6~20%로 대부분 5년 이내 재발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뒤 재발하는 후기 재발 가능성도 25%에 달해 유방암의 경우 5년이 지나도 완치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2013년 영국 란셋(Lancet)에 발표된 조기유방암 연구논문에 따르면 전체 유방암의 70%에 해당하는 호르몬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재발률은 10년째에 14%, 15년째에 25%에 달했다.
김민균 중앙대병원 유방외과 교수는 “유방암은 표적치료나 항호르몬치료의 치료 기간이 다른 암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재발률이 꾸준히 높아 수술 후 5년이 지난 뒤에도 지속적인 검진이 필요하다”며 “최근 연구결과 호르몬수용체 양성 유방암의 경우 항호르몬제 복용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면 재발률 감소 및 생존율 향상에 도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유방암은 수술한 유방 및 림프절에서 국소재발하거나, 뇌·뼈·폐·간 등에 전이돼 전신에 재발할 수 있다. 또 반대편 유방 등에 2차적인 추가 암이 발병할 위험이 정상인보다 높아 유전자변이(BRCA1·2, PTEN)가 발견되면 반대편 유방과 난소의 예방적 절제를 고려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미국암학회(ACS)는 유방암 생존자에게 치료 후 5년간은 4~6개월에 한 번, 5년이 지난 뒤에는 매년 한 번 주치의를 찾아 상담과 검진을 받으라고 권고하고 있다.
김희준 중앙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암 치료 초기에는 환자가 치료에 대한 의지가 강하고 목표가 분명해 환자 스스로 정기검사와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등 재발과 전이를 막기 위해 집중적으로 노력한다”며 “하지만 5~10년이 지나도 별다른 증상이 없으면 스스로 ‘완치’라고 생각해 정기검사 등에 소홀해지기 쉽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선 암환자등록 후 5년이 지나면 중증질환 산정특례 혜택(특례기간 동안 병원비, 약제비 등 모든 급여항목의 본인부담률 5%만 지불)이 만료돼 진료비 비용이 예전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가 내원과 정기검진을 늦추는 사례도 많다.
김 교수는 “유방암 특성상 암치료를 마치더라도 평생 추적검사를 받는 게 중요하다”며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았거나, 암 발견 당시 림프절전이가 관찰돼 재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환자는 주치의와 항호르몬치료요법 연장에 대해 상의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