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메르스)와 관련한 정부의 대처와 홀대에 격앙된 감정을 쏟아내고 있다.
우선 정부 조치가 지극히 획일적이고 방어적이란 지적이다. 메르스 의심환자가 내원해도 정부가 내놓은 진단 기준은 폐렴 또는 급성호흡기증후군이 있으며 14일 이내에 중동지역이나 메르스가 2인 이상 유행한 의료기관에 방문했던 사람에 한정해 검사를 하라는 것이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심증세가 있어도 검사를 받을 수 없다.
의료계는 메르스 전파 경로가 비말감염인지 공기전파 감염인지 논란이 분분한데다 거리도 2m에서 5m로 늘려야 한다는 의견까지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공기전파 가능성이 없다는 전제 아래 병원 폐쇄 등의 조치로 메르스의 국지적 확산 방지에만 주력하는 양상이다.
정치권이나 시민단체 등 비의료전문가 집단이 한 때 메르스 환자 발생 병원의 전면 폐쇄조치를 요구했지만 의료계 일각에서는 어떤 상황이 닥치더라도 메르스 관리 최후의 보루인 병원을 닫는 것은 잘못될 일이며, 정부가 메르스 전파를 막는답시고 폐쇄 요구에 동조하는 것은 무소신 보건행정이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메르스 사태 초기 정부가 조속하게 병원 명단을 공개하고 그 위험성의 한계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해 국민을 안심시키는 태도를 취해야 했는데 병원 폐쇄조치 등으로 의료계에 책임과 의무만 떠넘기고 있다는 게 의료계의 시각이다. 한 감염내과 전문의는 “메르스가 신종플루처럼 일회성 바이러스 감염질환이고, 이로 인한 사망위험은 독감이나 신종플루처럼 합병증과 환자 개인의 면역력 저하가 근본 원인이라는 점을 정부가 설득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자신감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병원은 가서는 안될 곳으로 찍히고, 환자 감소로 인한 경영난이 가중되면서, 적극적인 환자 대응도 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는 게 의료계의 불만이다.
모 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정 모 의사는 “응급실로 메르스 검사를 받고 싶다고 오는 환자 전화가 폭주해서 일을 못할 지경”이라며 “병원에서 X-레이 찍듯 시행할 수 없는 검사인 데다가 보건복지부 기준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검사해주고 싶어도 불가능한데 진단을 안 해준다고 병원에 화를 내는 시민들을 달래느라 진이 빠진다”고 밝혔다.
서울 강북의 한 의사는 “충청지역에 파견된 역학조사관들은 대부분 공중보건의로 나라를 위해 일하고 있지만 숙식을 자비로 해결하고 있다”며 “문화예술계가 힘들어졌다고 25억원을 지원하면서 실제 국민들을 위해 메르스와 직접 맞닥뜨리는 일선 의사들에겐 지원이 없다는 게 말이 되는가”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얼마 전 국가 방역에 동원된 의사가 전염병에 걸려 영구장애를 입었지만 국가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이 있었다”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열심히 일해야 하는 건 맞지만 비상사태 땐 의사를 공무원 취급하고, 세금을 거둘 땐 탈세 비리의 온상으로 지목하는 게 공공의 인식”이라고 분노를 터뜨렸다.
서울 영등포구의 한 의사도 “일선 의사들이 고열환자를 못 받는 이유는 장비도 불충분할 뿐더러 정부 정책이 메르스 환자가 다녀갔다고 하면 폐쇄부터 생각하는 탓도 있다”며 “최근 메르스 관련 병원 의사나 직원 자녀들이 어린이집이나 학교 등에서 등교 거부를 당하는 걸 보고 더욱 진료를 기피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사스) 유행 때 응급실 인턴으로 근무했던 의사는 “당시에도 국민들이 불안에 떨었지만 당시 행정부의 적극적인 초동대처와 국민안심 전략이 먹혀 김치먹는 한국인은 사스에 강하다라는 말까지 생길 정도로 잘 넘어가지 않았냐”며 “그 때엔 사스 의심자가 병원에 찾아와도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진료했다”고 회고했다.
서울 중랑구의 한 개원의는 “응급실 오염관리료가 1인당 150원인 상황에서 감염에 대한 전파를 막기 힘든 게 사실”이라며 “해외의 경우 응급실 개인 침대가 유리칸막이로 구분돼 있지만, 우리나라는 커튼을 치는 게 고작”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 한 명 살리려고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 6명이 처치해도 12만원 수가를 받지만 수입차 공임은 정비자 1인당 7만원인데 사람 목숨이 자동차만도 못한가”라고 되물었다.
이어 “심폐소생술을 해야 하는 환자가 메르스 환자라면 감염을 각오하고 진료해야겠지만 그래서 감염되면 나뿐 아니라 가족들까지 힘들어진다”며 “정부와 의료기관과 국민이 합심해서 나서도 모자란데 의료계만 성토당하는 현실이 서글프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