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행기능 회복에 필요한 중추신경계 제어기능 활성화, 마비된 근력 회복에 도움
뇌졸중이나 척수손상으로 보행기능을 잃은 환자가 사람의 도움없이도 보행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은 최근 보행로봇재활치료센터를 개소하고 보행기능을 잃은 환자에게 보행로봇을 이용한 본격적인 재활치료를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척수손상을 입은 환자가 보행로봇 장비를 착용하고 러닝머신에서 걸으며 축구공을 차는 치료를 받고 있다.
이 로봇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다발성 경화증, 척수손상 등에 의한 신경계 손상 및 탈조건화 등으로 정상적인 보행이 힘든 환자가 물리치료사 등 의료진의 도움없이 걸을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장비이다. 환자의 몸통·고관절·무릎·발목을 움직여 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환자의 생체신호를 탐지해 인공관절부가 두 다리를 움직이게 한다. 환자의 다리관절에 적합한 관절부를 장착해 충격 하중을 줄여 관절을 보호하면서 보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화된 보행패턴으로 환자가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다.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보행기능을 잃어버릴 수 있다. 보행로봇은 보행기능 회복에 필요한 중추신경계의 제어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마비된 근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행로봇은 환자의 신체에 따라 고관절에서 슬관절까지 350~480㎜, 슬관절에서 족관절까지 353~483㎜, 보행속도는 시속 0.3~3㎞로 조절할 수 있다. 환자의 키는 155~200㎝, 체중은 최대 100㎏까지 균형을 잃지 않게 지지하면서 보행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
정선근 재활의학과 교수는 “전자와 IT기술이 뛰어난 국내의 로봇재활이 뛰어난 것은 당연하다”며 “로봇재활이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환자에게 큰 희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지식경제부와 보건복지부는 재활로봇시범사업을 통해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국립재활원, 양산부산대병원, 원주기독병원 등에 보행로봇을 각각 1대씩 설치해 재활치료에 들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