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판막협착증은 심장의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대동맥판막이 석회화되어 잘 열리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이 수축할 때 대동맥판막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면 대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못해 흉통과 실신, 호흡곤란 등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돌연사의 위험도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노화로 인해 대동맥판막이 석회화되면서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다. 또 선천적으로 이엽성(판막이 2장) 대동맥판막의 구조적 문제를 가진 경우, 어릴 때 ‘류마티스열’을 앓고 난 후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류마티스성으로 대동맥판막협착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협착 정도가 심해지면 대동맥을 통해 심장과 뇌 등으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져 흉통과 실신 등 증상이 나타난다. 또 전신으로 충분한 혈액을 보내기 위해 좌심실 근육이 두꺼워지면서 호흡곤란 등 심부전 증상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협착 유무와 중증도를 판단 및 진단한다. 경증은 약물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중증일 경우 신속하게 수술 또는 시술받는 것이 좋다.
가슴을 열어 손상된 대동맥판막을 제거하고 금속 재질의 인공 판막 혹은 돼지나 소의 심장 조직을 특수 처리해 만든 조직 판막으로 치환하는 대동맥판막치환술(Aortic valve replacement, AVR) 수술이다.
최근에는 판막을 치환하기 위해 봉합하는 실을 사용하지 않거나 덜 사용하는 ‘비봉합 대동맥판막치환술(Sutureless)’이나 ‘신속거치 대동맥판막치환술(Rapid depolying)’등을 이용해 인공심폐기 사용 시간과 심정지 시간을 줄여나가고 있다.
경피적 대동맥판막 치환술(TAVI, 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ntation)은 가슴을 열지 않고 식도나 허벅지로 대동맥판막을 삽입한다. 시술 및 회복시간이 짧고 흉터나 통증이 적다.
요즘 TAVI가 대세이긴 하지만 나이가 70대 이하로 젊은 데 장기 생존율을 확정하고 싶은 경우, 상행대동맥의 협착이 심한 경우, 심장수술 기왕력이 있는 경우, 수술비를 절감하고 싶은 경우에는 여전히 AVR이 채택되고 있다.
박유경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
박유경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는 “이러한 AVR 최신 수술법이 추후 수술한 판막이 다시 좁아지거나 감염이 되는 감염성 심내막염 등 주요 합병증을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며 “최근 조직판막의 수명을 결정하는 석회화 방지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있으므로 판막 교체 주기와 재수술 기간이 연장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대동맥판막협착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며 ”초·중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협착 정도가 심해지면 갑작스럽게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무서운 질환”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