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국내 치매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25%로, 2016년(9.50%) 대비 소폭(0.25%p) 감소했다. 반면 치매 위험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2%로 2016년(22.25%) 대비 6.17%p 증가했다.
2025년 치매 환자는 97만 명(치매 유병률 9.17%)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101만 명으로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분석됐다. 장기적으로는 2044년 2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치매 환자 가족 절반 이상 돌봄 부담 호소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지역사회 치매 환자 가족의 45.8%가 돌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동거 가족의 경우 주당 평균 18시간을 돌봄에 할애하고 있으며,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은 주당 평균 10시간으로 조사됐다.
특히 치매 환자 돌봄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적 부담이 꼽혔다. 요양병원·시설 입원(소) 전 가족 돌봄 기간은 평균 27.3개월이었으며, 돌봄 중단 이유로는 가족원의 경제·사회활동으로 인한 24시간 돌봄 어려움(27.2%), 환자 증상 악화로 인한 부담 증가(25%)가 주요 원인이었다.
치매 환자 연간 관리비 최대 3천만 원… 돌봄비 비중 높아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지역사회 거주 환자의 경우 1,733만 원, 요양병원·시설 환자는 3,138만 원으로 조사됐다. 관리비용 중 보건의료비보다 돌봄비 부담이 더 컸으며, 지역사회 거주 환자의 경우 보건의료비 438만 원, 돌봄비 1,162만 원이 소요됐다.
정부, 치매 조기 발견 및 돌봄 지원 강화 계획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6~2030년)을 수립하고,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치매 조기발견 및 초기 관리를 위해 ▲치매안심센터 역할 강화 ▲노인 방문시설 중심의 치매 예방 교육 확대 ▲독거 및 부부 치매 환자 대상 맞춤형 사례관리 강화를 추진한다. 또한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확대 ▲중증 수급자의 재가급여 한도 인상 ▲치매전담실 확대 ▲보호자 긴급 돌봄 공백 지원을 위한 장기요양 가족휴가제 확대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임을기 노인정책관은 “치매 환자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