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인에 많은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에서 면역항암제(면역관문억제제)를 사용한 ‘새 치료 전략’이 임상적 유효성을 입증했다.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발현이 두드러지는 폐암은 표적항암제로 치료하는 게 일반적이다. 국내에 많은 EGFR, ALK 변이 양성 환자에서 1차 치료제로 티로신키나제 억제제(TKI)를 통상적으로 쓴다. 하지만 일정 기간 효과를 보이더라도 TKI 억제제의 내성을 피할 수 없는 게 문제다. 이후 치료의 대안으로 면역항암제를 꼽지만, 유전자 돌연변이가 없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비해 임상적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여겨져왔다.
안명주, 박세훈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팀 및 대한항암요법연구회 (KCSG) 소속 국내 15개 기관 연구진은 면역항암제, 항혈관억제제, 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의 가능성을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표적항암제 치료에 실패한 이후에 흔히 쓰는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제에 면역항암제와 항혈관억제제를 추가하면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연구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국내 16개 의료기관에서 모집한 EGFR 변이 환자 215명과 ALK 변이 환자 13명 등 총 228명을 무작위로 나눠 한 쪽에는 로슈의 PD-L1 억제제(면역항암제) ‘티쎈트릭주’(Tecentriq 성분명 아테졸리주맙, atezolizumab)과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는 혈관증식억제제 로슈의 ‘아바스틴주’(베바시주맙), 기존 백금 항암 치료법에서 쓰이는 파클리탁셀, 카보플라틴을 추가했다. 다른 한 쪽에는 표적항암제 이후 표준 치료방식인 릴리의 ‘알림타주’(Alimta, 성분명 페메트렉시드 Pemetrexed)에 백금착제인 카보플라틴 또는 시스플라틴을 병용 투여하고, 두 집단의 예후를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객관적치료반응률(ORR)은 아테졸리주맙 병용군이 69.5%로 기존 표준치료군 41.9%보다 높았다. 또 무진행 생존기간(PFS)도 아테졸리주맙 병용군이 8.48개월, 기존 치료군 5.62개월로 병의 진행 위험도가 38%가량 낮게 평가됐다.
이러한 경향은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늠하는 지표인 PD-L1의 발현율이 증가할수록 함께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루닛 스코프로 확인했을 때 종양침윤림프구의 밀도가 높았던 경우 항암효과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향후 치료 대상을 선정하는 데 참고기준이 될 전망이다.
종양침윤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는 암세포 주위에 모여 있는 림프구로서, 혈액 내에 존재하는 말초혈액림프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단구와 T세포·B세포·NK세포)보다 더 효과적으로 종양에 침투, 공격하는 기능을 가졌다.
이번 논문에서 1저자로 참여한 박세훈 교수는 “폐암이란 큰 병과 싸우면서 내성을 경험한 환자들은 절박한 심정으로 새로운 치료를 찾게 된다”며 “어려운 길임은 분명하지만, 여전히 암과 싸울 치료 옵션이 있다는 희망을 주고자 연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책임자인 안명주 교수는 “새 치료 전략이 유효하다는 것을 입증해 더 많은 환자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다만 늘어난 약제만큼 심각하진 않더라도 부작용 우려를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더욱 안전하고 정교한 방법으로 환자를 선별해 치료할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ATTLAS 연구는 EGFR, ALK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항암제+항암화학요법제 병용요법의 임상적 효능을 밝힌 최초의 3상 임상시험 결과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10월 20~24일 열린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2023)에서 ‘최신 임상연구 초록’(Late-breaking Abstract)으로 채택돼 학회에 발표됐다. 동시에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학회지인 ‘JOURNAL OF CINICAL ONCOLOGY’(IF=50.739)에 실시간으로 공개가 되는 등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