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의학건강
정월대보름 부럼 깨다가, 이까지 '와그작'... 치아손상 주의
  • 김광학 기자
  • 등록 2022-02-10 09:42:51
  • 수정 2022-02-10 09:43:23
기사수정
  • 호두 등 딲딱한 음식 임플란트 등 기존 보철물 파손, 치아 균열 깨짐 낭패 볼수도

오는 15일은 설날 이후 첫 보름날인 정월대보름으로 오곡밥, 김, 묵은 나물, 제철 생선, 귀밝이술 등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 등 소원을 비는 날이다. 현대에 와서는 설날이나 추석처럼 휴일이 아닌 민속명절은 잊히는 경우가 많으나 정월대보름만큼은 오랜 풍속이 소소하게나마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정월대보름에 부럼을 깨물어 먹으며 한 해 동안 만사형통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전통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정월대보름에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오곡밥을 지어 먹고 쥐불놀이, 지신밟기 등 다양한 풍속을 즐겼다. 더불어 귀신을 쫓는다는 의미로 날밤이나 호두, 은행, 잣, 땅콩 등 부럼을 깼다. 부럼 깨기는 집에서 쉽게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요즘까지 많은 사람이 정월대보름을 맞아 부럼을 깬다. 하지만 부럼 깨기는 치아에 손상을 잘 입히고 턱관절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문제는 단단한 음식을 깨물다 치아야 얇게 금이 가도 이상 증상이 지속적으로 느껴지지 않아 치료를 미루게 된다는 것이다. 치아에 금이 간 상태에서 계속 압력이 가해지면 금이 깊어지고 파손 부위가 커져 위험하다.


음식이 우리 구강으로 들어오면 구강 내에서 잘게 씹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음식물을 씹는 힘을 저작력이라 하는데 단단한 음식일수록 많은 힘이 가해진다. 단단한 껍질이 있거나 딱딱한 견과류의 경우 평소에 먹던 음식보다 더 강하고 많은 저작력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치아가 깨지거나 임플란트 등 기존 보철물이 파손될 수 있다.


치아에 균열이 발생하면 치아의 겉을 둘러 싼 상아질을 보호하고 있는 법랑질의 연속성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자극이 치아 내부의 조직으로 전달되어 치아가 시린 느낌을 받으며 음식을 섭취하거나 치아가 맞닿을 때 전기가 오는 것처럼 찌릿한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치아에 균열이나 깨짐이 발생한 경우 부위나 정도에 따라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손상된 치아는 회복시킬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물질로 복구하는 것으로 치료를 하게 된다. 치료에 앞서 환자의 치아 맞물림 정도나 위치, 생활 습관 등을 확인하고 레진 등 복구에 사용할 물질을 선택해 손상된 부위를 메워준다. 손상이 심한 경우는 인레이 혹은 크라운 치료, 신경치료 등을 고려할 수도 있으며 복구 자체가 힘들 정도는 발치해서 치료를 한다.


치과 치료는 빠르면 빠를수록 자연치아를 지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초기 치아 손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할 경우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해 치료 기간이 길어지거나 자연치아를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치아 손상을 인지했다면 신속히 치과를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성화식 대동병원 치과 과장은 “껍질이 있는 견과류를 포함해 딱딱한 음식은 치아가 상대적으로 약한 소아나 노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건강한 성인이라도  임플란트를 포함해 치아 보철물이 있다면 주의하도록 하며 딱딱한 음식을 섭취한 후 치아 통증이나 시큰함을 느꼈다면 참지 말고 가까운 치과에 내원해 치아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치아는 한번 손상되면 되돌릴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삼가는 것이 좋으나 먹어야 한다면 최대한 잘게 잘라 천천히 씹도록 하며 양쪽으로 씹어야 한다. 또한 이갈이, 이 악무는 습관 등이 있다면 교정하도록 하며 올바른 양치 습관과 주기적인 구강검진을 통해 구강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성화식 대동병원 치과 과장. (대동병원 제공)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