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자살 관련 상담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건수 증가와 함께 자살예방센터 업무 부담 또한 과중되면서 관련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과도한 업무와 불안정한 근무 환경으로 근속 연수도 짧아 상담의 연속성과 전문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살예방사업센터 인력 1인당 담당 피상담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대전의 부설형 자살예방센터였다. 이곳에서는 인력 1명이 총 451명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부설형 자살예방센터는 1인당 301명으로 뒤를 이었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별 운영 형태 및 상근인력 현황' 및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 중 65.5%가 신경성 질환, 우울증 등 정신적 질환 경험이 있었다.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코로나19 대응인력·확진자·유가족·격리자·일반인 등에게 전화 및 대면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일선 기관이다. 광역과 기초로 구분되며, 주로 기초센터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초센터의 상근인력 3224명 중 70%에 달하는 2276명이 비정규직이었다. 이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3.3년에 불과하다.2년 이하 근속자 수는 1838명으로 전체의 57%에 달한다. 절반 이상이 2년도 채 근무하지 않고 현장을 떠나는 셈이다.
지난해 기준 기초센터 244개소 중 절반을 넘는 123개소는 상근인력 100%가 비정규직으로 구성돼 있었다.정신건강복지센터의 직무 분석을 통해 직역별 인원편성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급여 지급 기준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남 의원은 "지역사회 중증정신질환자 관리에서부터 자살예방, 코로나19 심리지원 등 정신건강과 관련해 무한한 역할을 떠안고 있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들의 상당수가 비정규직에 근속연수 2년이 채 안 된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종사자의 경력 단절을 유발하고 전문성 축적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서비스 대상자와의 라포(rapport) 형성 및 사례관리 연속성의 단절을 초래한다"며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역할을 표준화하고 불안정한 센터 운영 및 고용 형태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인순 의원은 또 “통합적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광역 단위에 독립형 자살예방센터를 최소 1개소씩 두고, 자살상담 사례관리를 위한 부설형 자살예방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팀 인력 또한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