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는 가벼운 질환인 경우 상처가 덧나거나 염증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지만, 생명을 살릴 수도 있다. '심정지 환자'에게 응급처치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생존율이 2배 이상 올라간다. 질병관리청 급성심정지조사 자료(2012-2019)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를 목격한 주위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 시행하지 않은 환자보다 생존율이 6.2%에서 15.0%로 2.4배 높아졌다. 뇌기능 회복률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았을 때(3.1%) 보다 시행한 경우(10.8%) 3.5배 높은 회복률을 보였다.
세계 응급처치의 날을 맞아, 주위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상황별 응급처치법을 김정언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보자.
<알아두면 쓸데있는 '응급처치'>
아이가 열날 때
10세 미만 소아가 응급실을 오는 가장 흔한 원인은 '열' 때문이다. 감기나 중이염, 장염 등 열이 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아이가 갑자기 고열이 나면 보호자는 당황한다. 이럴 때 먼저 아이 컨디션을 체크한다.
열이 나지만 아이가 평소처럼 잘 놀고 잘 먹는다면, 일단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고 해열제를 복용한다. 열이 난다고 옷을 다 벗기지 말고, 반대로 오한이 있다고 두꺼운 옷을 입히면 안 된다. 가볍게 입혀 둔 상태로 상태변화를 살피는 것이 좋다.
김정언 교수는 “열이 40도를 넘거나 열성경련 있으면 응급실로 와야 된다”며 “생후 12개월이 안된 아이가 열이 나면 탈수가 진행되거나 열이 쉽게 호전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어려서 패혈증 등을 감별해야 해 반드시 근처 응급실로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칼에 베여서 떨어진 살점
커터칼이나 식칼을 사용하면서 손가락 끝 살점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있다. 떨어져 나간 살점은 피부에 다시 이식을 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때도 있다. 가능하면 보관해 병원으로 가져와 의사의 판단을 듣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정언 교수는 "살점을 가져올 때는 생리식염수나 깨끗한 물을 적신 거즈나 깨끗한 천에 감싼 후 비닐봉지에 넣어서 밀봉하고, 얼음과 물을 넣은 용기나 주머니에 담아서 가져가는 것이 좋다"며 "절단된 조직이 직접 얼음이 닿게 되면 너무 온도가 낮아져 손상될 수 있으므로 얼음에 직접 닿게 하지 말고, 드라이아이스는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이물질 삼켰을 때
이물질을 삼킬 때가 간혹 있다. 성인보다 사물에 호기심이 많은 소아에서 많이 발생한다. 특히 6개월에서 6세 사이 소아가 가장 흔히 이물을 삼켜 응급실 진료를 받는다. 이물을 삼킨 경우, 80~90%는 대변을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10~20%는 위식도 내시경 등 치료적 시술을 필요하고, 1%는 수술을 해야 한다. 김정언 교수는 "보통 2.5cm가 넘는 크기의 둥근 물체(100원짜리 동전이 24mm)나 닭뼈, 생선가시, 바늘, 옷핀 등 끝이 뾰족한 물체를 삼켰을 때는 내시경적 제거가 필요하다"며 "특히 리튬 전지의 경우는 식도나 장 점막의 부식을 일으킬 수 있어 최대한 빨리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석을 삼켰을 때도 장을 사이에 두고 서로 끌어당겨서 장을 막거나 상하게 할 수 있어 응급실을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부작용, ‘이럴 때’ 병원 진료 필요
코로나 19 백신 접종자가 늘면서 접종 후 부작용도 늘고 있다. 예방접종 후 흔히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이나 구토 등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다. 증상은 정상적인 면역 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에 사라진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전체 예방접종 건 대비 이상반응 신고율은 0.41%(총 171,159건, 2021.8.28. 기준). 근육통, 두통 등 일상적인 이상반응 사례가 95.6%(163,578건)로 가장 많았다.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의심 등 중대한 이상반응 사례는 4.4%(7,581건)으로 조사됐다.
이럴 때는 병원이나 응급실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접종 부위의 부기, 통증, 발적이 48시간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 때 △접종 후 4주 이내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통, 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 △접종 후 심한 두통이나 2일 이상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해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을 때 △시야가 흐려질 때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 △접종 후 접종 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길 때, 의사의 진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