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 안구건조증이 부정확한 각막곡률 측정 유발 가능성
- 김동현 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팀은 안구건조증이 각막 곡률 수치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끼치고, 이는 백내장수술이나 시력교정수술에 대한 예측 정확도...
- 2024-12-23
-
- 성인 MOGAD 발병 후 조기 치료, 장기적인 재발 방지 및 체내 MOG 항체 소실에 효과적
- 재발이 잦은 MOG항체관련질환(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Antibody-Associated Disease, MOGAD) 성인 환자의 장기적 예후를 개선하는 치료 방침을 국내 연구진이 제시했다...
- 2024-12-23
-
- 가톨릭중앙의료원, 자성 나노입자 및 자기장 활용 종양표적 약물전달기술 개발
- 구희범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장 (의생명과학교실 교수, 교신저자), 이동현 박사(제1저자) 연구팀이 강한 자성을 ...
- 2024-12-23
-
- 인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 소뇌실조증 치료 돌파구 마련
- 김상룡 경북대 생명공학부 교수, 석경호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이호원 칠곡경북대병원 교수와 김경숙 코아스템켐온 상임고문 공동 연구팀은 유전성 소뇌실...
- 2024-12-23
-
- AI 기반 CAD-ENS 결합 시스템으로 기흉 치료 시간 단축 효과 입증
- 오시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의료인공지능 임상실증연구 지원센터’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인공지능(AI) 기반 흉부 X-레이 컴퓨터 지원진단(comp...
- 2024-12-23
-
- 만성 스트레스에 의한 혈관질환 발생 이유 세포 추적영상으로 밝혀
- 김진원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순환기내과 교수, 유홍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만성 스트레스에 의한 동맥경화 진행 및 심장마비 발생의 연결 고리...
- 2024-12-19
-
- 아주대병원 ‘바이오 플라즈마’로 암세포만 공격하는 새로운 치료법 제시
- 바이오 플라즈마를 이용해 암세포만 공격하는 새로운 암 치료법이 나왔다. 김철호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강성운 연구교수, 윤주현 이대목동병원 이...
- 2024-12-19
-
- 서울대병원, 방사선 없이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치료 효과 및 안전성 입증
- 서울대병원 의료진이 고위험 소아청소년 급성림프모구백혈병(ALL) 환자들에게 방사선 없이 항암제만을 사용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
- 2024-12-19
-
- 심방세동 치료 신의료기술 ‘펄스장 절제술’(PFA) 국내 도입
- 심방세동 치료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한 신의료기술인 펄스장 절제술(Pulsed field ablation, PFA)이 국내에 성공적으로 도입됐다. 19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과 성균관...
- 2024-12-19
-
- 서울성모병원, 호두까기증후군(좌신정맥압박증후군) 새 수술법 발표
- 홍성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팀(제1저자 Abuzenada Mohammed Adnan M)이 일명 ‘호두까기증후군’(Nutcracker Syndrome)으로 불리는 좌신정맥압박...
- 2024-12-18
-
- 류마티스관절염과 간질성폐질환 간 상호작용(동반 합병증 초래) 규명
- 김보근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류마티스 관절염과 간질성 폐질환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 류마티스관절염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
- 2024-12-18
-
- 소아 발목 성장판 골절, ‘생체흡수성 나사’로 치료 부담 줄인다
- 성기혁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팀은 소아의 발목 성장판 골절 치료에 사용하는 생체흡수성 나사와 금속 나사를 이용한 수술 결과를 비교한 연구 결과...
- 2024-12-18
-
- 세포 노화, 종양 유발 바이러스(KSHV)에 감염될 취약성 높인다
- 세포 노화가 종양 유발 바이러스에 감염될 취약성을 높이는 새로운 발병 기전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이명신 을지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팀은 노화된 ...
- 2024-12-18
-
- 경추척수증 수술 예후 예측 AI 개발 … 예후 좋을 예측 환자 선별, 정기검진 줄여줘
- 경추척수증 수술 후, 예후가 좋아도 매년 불필요한 추적관찰을 받아야 했던 기존 진료 시스템을 개선할 길이 열렸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수술 예후가 좋은 ...
- 2024-12-17
-
- 황호식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교수, 新 각막내피세포 이식술 개발 … 성공률·안정성 향상
- 황호식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안과병원 교수팀이 새로운 각막내피세포 이식술을 개발했다. 황 교수는 기증자의 데세메막(Descemet membrane)을 두 개의 캐뉼라...
- 2024-12-17
-
- 고려대 안암병원, 삼성서울병원, 대전을지대병원 아시아 최초 ‘다빈치5’ 최신 수술로봇 도입 및 첫 수술 시행
- 고려대 안암병원, 삼성서울병원, 대전을지대병원이 아시아 최초이자 전세계 두번째로 최신 로봇수술기기인 '다빈치 5'(da Vinci 5)를 도입해 본격적으로 운...
- 2024-12-16
-
- 생체전기 임피던스(인바디) 기술, 급성신손상 환자 신속한 체액 조절 기여
- 김세중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팀은 지속적 신대체요법(CKRT)을 받는 중증 급성신손상(AKI) 환자에서 ‘인바디’(체성분 분석 체중계)로 잘 알려진 ...
- 2024-12-16
-
- 중환자 섬망 예방에 필요한 진정제 최적 투여량 결정하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
- 이홍열 서울대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 류호걸·이형철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이현훈 데이터사이언스연구부 교수팀은 중환자실(ICU) 환자의 섬망 예방을 ...
-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