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강박증 환자, 뇌 구조 발달양상 다르다”
  • 손세준 기자
  • 등록 2020-03-03 19:42:04
기사수정
  • 뇌 발달과정이 정상인은 6그룹, 강박증 환자는 3그룹으로만 분류 … 뇌 자극 시 치료부위 결정에 도움
정상인(왼쪽)과 강박증 환자의 ‘뇌 구조 변이 네트워크’ 비교
권준수·윤제연 서울대병원 교수팀은 강박증 환자와 정상인의 ‘뇌구조 변이 네트워크’ 양상을 비교한 연구결과를 3일 발표했다.

강박증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특정 생각, 충동, 장면(강박사고)이 반복적으로 떠오르고 이에 따른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행동(강박행동)을 반복하는 질환이다. 예를 들면 가스불이 켜져 있어 화재가 날 것 같은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강박 사고, 이로 인한 불안을 없애기 위해 반복적으로 가스불을 확인하는 것이 강박 행동에 해당한다. 전세계 인구의 약 2~3%가 일생동안 한 번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 교수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국제뇌연구협의체 ‘이니그마(ENIGMA, Enhancing Neuroimaging and Genetics through Meta-Analysis)’ 컨소시엄의 26개 연구진이 참여했다. 이들은 다수의 공동논문을 발표해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 정신의학저널(JAMA Psychiatry)’, ’미국정신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등에 게재하고 있다.

권 교수팀은 세계 각국 3079명의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강박증 환자의 뇌 발달과정에 주목했다. 뇌는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라 변한다. 그 변화양상은 뇌의 각 부위별로 독립적이다. 피질, 피질하 영역, 안와전두엽, 선조체, 하두정엽 등 각 뇌 영역은 뇌가 발달하고 성숙하면서 부피나 두께가 각기 개별적으로 변한다. 이같은 각각의 변화양상을 수치화한 게 ‘뇌 구조 변이 네트워크’다.

연구팀은 정상인과 강박증 환자의 뇌 구조 변이 네트워크를 비교하고 변화패턴을 분석했다. 뇌 부위별 변화가 유사한 정도에 따라 분류했을 때 정상인은 6그룹, 강박증 환자는 3그룹으로만 분류됐다. 이는 강박증 환자에서 비정상적인 뇌발달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는 강박증 원인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한발 다가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에도 뇌 영상을 통해 강박증 환자의 뇌 구조가 정상인과 다르다는 사실은 밝혀냈지만 이같은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윤 교수는 “사람의 개인별 뇌구조 변이 네트워크는 뇌 구조의 발달·성숙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번 연구는 강박증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뇌자극 치료 시 치료부위를 선택하는 데 활용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SCI급 국제학술지 ‘뇌(Brain)’ 최신호에 게재됐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부광약품
동화약품
존슨앤드존슨
탁센
동아ST
한국다케다제약
사노피
동국제약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차병원
신풍제약주식회사
정관장몰
한국화이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휴온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